본문 바로가기
영화, 사회 회사 비즈니스 심리

잘못된 욕망을 떨쳐내야 하는 이유, 영화 나의 집으로

by 아톨 2024. 12. 5.

누구나 욕망이 있어서, 돈이나 성공 등에 대한 꿈을 갖고 삽니다.

다만, 이러한 욕망이 잘못된 방향으로 벗어나거나 지나치게 된다면 이것은 잘못된 결과를 낳습니다.

 

영화 나의 집으로에서는 이러한 욕망을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저는 다른 모습의 욕망을 다룬 영화 매치 포인트(Match Point, 2006, 우디앨런 감독)와의 비교를 통해 다시한번 생각을 하는 글을 적었습니다.

 

 

1. 영화 나의 집으로

영화 나의 집으로(The Occupant, 2020)의 감독은 알렉스 파스토르 다비드 파스토르입니다스페인에서 제작된 스릴러 영화로, 주연으로는 하비에르 구티에레스(Javier Gutierrez Alvarez), 마리오 카사스(Mario Casas Sierra), 브루나 쿠지(Bruna Cusi) 등이 참여하였습니다.   

 

반응형

영화의 줄거리

영화는 한때 성공적인 광고 작가였던 하비에르가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면서 시작됩니다. 그는 가족과 함께 고급 아파트에서 살고 있었지만, 결국 높은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하고 이사를 하게 됩니다. 하비에르는 과거의 영광을 그리워하며, 자신이 살던 집으로 몰래 들어가 그곳의 새로운 거주자 토마스의 삶을 엿보게 됩니다.

 

하비에르는 토마스의 알코올 중독과 그로 인해 가족이 겪는 고통을 알게 되고, 점차 그와 가까워지며 그의 삶을 망가뜨리려는 계획을 세웁니다. 하비에르는 토마스의 아내와 딸에게 접근하고, 결국 토마스를 제거하기로 결심합니다. 영화는 하비에르가 자신의 욕망을 위해 타인의 삶을 파괴하는 과정을 긴장감 있게 그려냅니다.

 

이 영화는 인간의 욕망과 집착, 그리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비극을 탐구하며, 주인공의 심리적 변화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2. 주인공을 통해 보는 잘못된 욕망의 심리단계  

하비에르의 잘못된 욕망의 심리를 단계별로 살펴보면, 그의 행동과 대사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상실감과 질투

하비에르는 자신의 과거 성공을 그리워하며, 현재의 상황에 대한 불만을 느낍니다. 이 단계에서 그는 질투심을 느끼고, 다른 사람의 성공을 부정적으로 바라봅니다.

  • 영어 대사: “I used to have it all. Now, I’m nothing.”
  • 한국어 대사: “나는 한때 모든 것을 가졌었어. 이제 나는 아무것도 아니야.”

2. 관찰과 집착

하비에르는 새로운 거주자인 토마스를 관찰하며 그의 삶에 집착하게 됩니다. 그는 토마스의 약점을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려고 합니다.

  • 영어 대사: “I see everything. You don’t even know I’m here.”
  • 한국어 대사: “나는 모든 것을 보고 있어. 너는 내가 여기 있는지도 모르겠지.”

3. 조작과 통제

하비에르는 토마스의 삶에 개입하기 시작하며, 그의 가족과 가까워지려 합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조작적인 행동을 합니다.

  • 영어 대사: “You think you’re in control, but I’m the one pulling the strings.”
  • 한국어 대사: “너는 네가 통제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나는 모든 것을 조종하고 있어.”

4. 극단적 선택

결국 하비에르는 자신의 욕망을 위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됩니다. 이는 그의 집착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줍니다.

  • 영어 대사: “I have to do what I must to reclaim my life.”
  • 한국어 대사: “내 삶을 되찾기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해야 해.”

이러한 단계들은 하비에르의 심리적 변화를 잘 보여주며, 그의 잘못된 욕망이 어떻게 그를 파국으로 이끄는지를 설명합니다. 이 영화는 인간의 복잡한 심리를 탐구하며, 욕망이 어떻게 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를 잘 드러냅니다. 

 

 

3. 주인공을 통해 보는, 영화 매치 포인트와의 심리 비교

하비에르와 영화 매치 포인트(Match Point, 2006, 우디앨런 감독)”의 주인공 크리스 윌튼의 심리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면, 두 캐릭터 모두 욕망과 성공에 대한 집착을 가지고 있지만, 그 표현 방식과 결과는 다릅니다.

유사점

  1. 성공에 대한 집착
    o 하비에르: 과거의 성공을 그리워하며, 다시 그 위치로 돌아가고자 하는 강한 욕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o 크리스: 상류 사회에 진입하고자 하는 욕망이 강하며, 이를 위해 불법적인 선택을 하게 됩니다.

  2. 타인에 대한 조작
    o 하비에르: 토마스의 삶을 엿보며 그의 약점을 이용하려고 합니다.
    o 크리스: 자신의 성공을 위해 친구의 여자친구와 불륜 관계를 맺고, 이를 통해 사회적 지위를 높이려 합니다.

  3. 도덕적 갈등
    o 두 캐릭터 모두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도덕적 경계를 넘는 선택을 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심리적 고통을 겪습니다.

차이점

  1. 결과의 극단성
    o 하비에르: 그의 집착은 결국 극단적인 범죄로 이어지지만, 그 과정에서의 심리적 갈등이 더 두드러집니다.
    o 크리스: 그의 선택은 불륜과 범죄로 이어지지만, 그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죄책감을 덜 느끼고, 오히려 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인간관계의 복잡성
    o 하비에르: 그의 행동은 타인의 삶을 파괴하는 데 집중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고립됩니다.
    o 크리스: 그는 여러 사람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키려 하지만, 결국 그 관계들이 그를 더욱 고립시키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3. 심리적 반응
    o 하비에르: 그의 심리는 점차적으로 파괴적이고, 감정적으로 불안정해집니다.
    o 크리스: 그는 자신의 성공을 위해 냉정하게 계산하며, 감정보다 이성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두 캐릭터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욕망과 성공을 추구하지만, 그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갈등과 결과는 매우 흥미로운 대조를 이룹니다. 이 영화들은 인간의 본성과 도덕적 선택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집니다.

 

 

4. 잘못된 욕망의 정화 

잘못된 욕망을 깨뜨리고 정상화시키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자기 인식과 성찰

  • 자신의 욕망이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기적으로 일기를 쓰거나 명상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성찰해 보세요. 이를 통해 왜 그런 욕망이 생겼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목표 설정

  • 명확하고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세요. SMART 목표(구체적, 측정 가능, 달성 가능, 관련성, 시간 제한)를 활용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목표를 세우면 불필요한 욕망을 줄이고, 진정으로 중요한 것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3. 사회적 지원

  • 가족이나 친구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세요. 주변의 지지망은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며, 과도한 욕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정기적으로 소통하고, 서로의 감정을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4. 균형 잡힌 삶

  • 일과 여가, 개인적 성장과 사회적 활동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균형을 유지하세요. 건강한 식습관과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휴식은 정서적 안정과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5. 전문가의 도움

  • 만약 욕망이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면, 심리 상담이나 치료를 고려해 보세요. 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6. 감사 연습

  • 매일 감사한 일을 기록하거나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는 습관을 들이면 현재 가진 것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욕구의 과도한 발생을 막고, 현재의 행복을 더 크게 느끼게 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잘못된 욕망을 인식하고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5. 잘못된 욕망에 대한 메시지 

영화 나의 집으로의 메시지는 잘못된 욕망이 개인과 타인에게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을 탐구합니다. 주인공 하비에르는 자신의 과거 성공에 대한 집착으로 인해 타인의 삶을 조작하고 파괴하게 되며, 결국 자신의 욕망이 가져오는 비극적인 결과를 경험합니다.

 

이 영화는 욕망의 본질과 그로 인한 도덕적 갈등을 강조하며, 인간의 심리와 관계의 복잡성을 드러냅니다. 궁극적으로, 잘못된 욕망이 어떻게 사람을 고립시키고 파국으로 이끌 수 있는지를 경고하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