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사회 회사 비즈니스 심리

현재를 수용하는 삶이 소중한 이유는,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

by 아톨 2024. 12. 9.

경축, 축하, 파티의 장소에 빠지지 않는 것 중 하나가 샴페인입니다.

 

세계 최대의 LVMH그룹 모엣 & 샹동(Moët & Chandon)의 최고급 샴페인 돔 페리뇽(Dom Pérignon)은 1668년 피에르 페리뇽(Pirre Perignon) 수도사에 의해서 프랑스(France) 샹파뉴(Champagne)에 있는 베네딕틴 오빌리에 수도원(Benedictine Hautvillers Abbaye)에서 제조되었다고 합니다.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에서는 모엣 & 샹동(Moët & Chandon) 임페리얼 브뤼 샴페인이 나옵니다. 또한, 영화 엘리제궁의 요리사(HAUTE CUISINE, 2015)와 영화 프렌치 키스(French Kiss, 1995)에서는 아름다운 프랑스의 다양한 풍경들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기분좋은 일과 함께 현재의 삶이 소중한 이유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입니다.

 

 

1.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Midnight In Paris)'는 우디 앨런이 감독하고 각본을 쓴 2011년 로맨틱 판타지 코미디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2011년 칸 영화제에서 초연되었습니다.

제작진

  • 감독: 우디 앨런(Woody Allen, Allan Stewart Konigsberg)
  • 각본: 우디 앨런
  • 제작: 레티 아론슨, 스티븐 테넌바움, 자우메 루레스
  • 촬영: 다리우스 콘지
  • 편집: 얼리사 렙셀터
  • 제작사: 그라비어 프로덕션, 미디어프로, 베르사틸 시네마
  • 배급사: 소니 픽처스 클래식스
반응형

 

출연진

  • 오언 윌슨: 길 펜더
  • 레이철 맥아담스: 이네즈
  • 마리옹 코티야르: 아드리아나
  • 캐시 베이츠: 거트루드 스타인
  • 코리 스톨: 어니스트 헤밍웨이
  • 에이드리언 브로디: 살바도르 달리
  • 카를라 브루니: 미술관 가이드
  • 마이클 신:
  • 톰 히들스턴: F. 스콧 피츠제럴드
  • 커트 풀러:
  • 가드 엘마레: 형사
  • 아드리안 데 반: 루이스 부뉴엘

영화의 줄거리

영화는 소설가 길 펜더(오언 윌슨,Owen Wilson)와 그의 약혼녀 이네즈(레이철 맥아담스, Rachel Anne McAdams )가 파리로 여행을 떠나면서 시작됩니다. 길은 파리의 낭만을 사랑하지만, 이네즈는 파리의 화려함을 즐기고 싶어합니다. 어느 날 밤, 길은 혼자 파리의 밤거리를 산책하다가 자정이 되자 클래식 푸조 자동차를 타고 1920년대 파리로 시간 여행을 하게 됩니다.

 

1920년대 파리에서 길은 어니스트 헤밍웨이, F. 스콧 피츠제럴드, 살바도르 달리 등 전설적인 예술가들과 친구가 됩니다. 그는 특히 피카소의 연인 아드리아나(마리옹 코티야르, Marion Cotillard)에게 매력을 느끼게 됩니다. 길은 매일 밤 1920년대로 돌아가며 예술가들과의 만남을 즐기고, 자신의 글에 대한 비평을 거트루드 스타인(캐시 베이츠, Kathy Bates,  Kathleen Doyle Bates)에게 부탁합니다.

 

그러나 아드리아나는 그녀의 시대보다 과거인 1890년대를 동경하며, 길과 함께 그 시대로 시간 여행을 떠납니다. 아드리아나는 결국 1890년대에 남기로 결심하고, 길은 혼자 2010년대로 돌아옵니다. 드디어, 길은 현재의 파리에서 새로운 시작을 결심하며, 비 오는 파리의 거리를 걷다가 가브리엘(레아 세이두, Lea Seydoux)과 함께 새로운 인연을 맺게 됩니다.

 

이 영화는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로맨스를 통해, 현재의 삶에 대한 만족과 과거에 대한 동경을 동시에 그려내고 있습니다.

 

 

2. 주인공의 심리 변화와 현재의 수용 

길 펜더의 심리 변화는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의 핵심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의 심리적 여정을 단계별로 정리하고, 관련된 영화 대사를 함께 소개합니다.

 

 

1. 현재에 대한 불만과 과거에 대한 동경

길은 현재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과거의 낭만적인 시대로 돌아가고 싶어합니다. 그는 약혼녀 이네즈와의 관계에서도 불만을 느끼며, 파리에서의 삶을 꿈꿉니다.

  • : "I would like to live in Paris in the 1920s. That was the golden age."
    한국어 번역: "나는 1920년대 파리에서 살고 싶어. 그때가 황금기였지."

2. 시간 여행을 통한 자아 발견

길은 자정에 클래식 푸조 자동차를 타고 1920년대로 시간 여행을 하게 됩니다. 그곳에서 그는 어니스트 헤밍웨이, F. 스콧 피츠제럴드, 살바도르 달리 등 전설적인 예술가들을 만나며 자신의 글에 대한 자신감을 얻게 됩니다.

  • 헤밍웨이: "All cowardice comes from not loving or not loving well, which is the same thing."
    한국어 번역: "모든 비겁함은 사랑하지 않거나 잘 사랑하지 않아서 생기는 거야. 둘 다 같은 거지."

3. 아드리아나와의 만남과 사랑

길은 피카소의 연인 아드리아나를 만나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아드리아나와의 만남을 통해 길은 자신의 과거 동경이 단순한 환상일 수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 아드리아나: "I was born too late."
    한국어 번역: "나는 너무 늦게 태어났어."

4. 현실과 환상의 경계

길은 아드리아나와 함께 1890년대로 시간 여행을 떠나게 됩니다. 아드리아나는 그 시대에 남기로 결심하지만, 길은 현재로 돌아가기로 결심합니다. 그는 과거를 동경하는 것이 현재의 불만족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닫습니다.

대사:

  • : "If you stay here, it becomes your present. And pretty soon you are gonna imagine another time was really the golden time. That's what the present is! It's a little unsatisfying because life is a little unsatisfying."
    한국어 번역: "여기 머물면 여기가 현재가 되는 거야. 그러면 곧 또 다른 시대가 진짜 황금기였다고 상상하게 될 거야. 현재란 그런 거야! 조금 불만족스러운 건 삶이 조금 불만족스럽기 때문이지."

5. 현재의 삶에 대한 수용

길은 현재의 파리로 돌아와 이네즈와의 관계를 정리하고, 새로운 인연인 가브리엘을 만나게 됩니다. 그는 현재의 삶을 받아들이고, 과거의 환상에서 벗어나기로 결심합니다.

  • 가브리엘: "I don't mind getting wet. Actually, Paris is most beautiful in the rain."
    한국어 번역: "나는 젖는 거 상관없어요. 사실 파리는 비 올 때가 가장 아름답죠."

길 펜더의 심리 변화는 과거에 대한 동경에서 시작해, 현재의 삶을 수용하는 과정으로 이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진정한 행복을 찾게 됩니다.

 

 

3. 주요 인물들의 심리에 대하여 

"미드나잇 인 파리"의 주요 인물들은 각기 다른 심리적 상태와 동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 몇 가지 주요 인물들의 심리 상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이네즈 (레이철 매캐덤스)

심리 상태: 현실적이고 물질주의적

  • 이네즈는 파리의 낭만보다는 쇼핑과 사교 활동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그녀는 길의 예술적 열망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의 과거에 대한 동경을 비현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 대사: "You always take the side of the help. That's why Daddy says you're a communist."
    한국어 번역: "당신은 항상 하인 편을 들어. 그래서 아빠가 당신을 공산주의자라고 하는 거야."

2. 아드리아나 (마리옹 코티야르)

심리 상태: 과거에 대한 동경과 현재에 대한 불만

  • 아드리아나는 1920년대 파리에서 살고 있지만, 그녀는 벨 에포크 시대를 동경합니다. 그녀는 현재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과거의 낭만적인 시대로 돌아가고 싶어합니다.
  • 대사: "I can never decide whether Paris is more beautiful by day or by night."
    한국어 번역: "파리가 낮에 더 아름다운지 밤에 더 아름다운지 결코 결정할 수 없어."

3. 어니스트 헤밍웨이 (코리 스톨)

심리 상태: 강한 자아와 용기

  • 헤밍웨이는 강한 자아와 용기를 강조하며, 길에게도 용기를 가지라고 조언합니다. 그는 자신의 글과 삶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으며, 길에게도 자신감을 불어넣어 줍니다.
  • 대사: "If you're a writer, declare yourself the best writer!"
    한국어 번역: "네가 작가라면, 자신을 최고의 작가라고 선언해!"

4. (마이클 신)

심리 상태: 지적 허영심과 자기 과시

  • 폴은 자신이 모든 것을 알고 있다는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지식을 과시하려 합니다. 그는 길의 예술적 열망을 무시하고, 이네즈와의 관계에서도 우월감을 드러냅니다.
  • 대사: "You know, the interesting thing about Monet's 'Water Lilies' is the interplay of light and shadow."
    한국어 번역: "모네의 '수련'에서 흥미로운 점은 빛과 그림자의 상호작용이야."

5. 거트루드 스타인 (캐시 베이츠)

심리 상태: 예술적 권위와 멘토링

  • 거트루드 스타인은 예술가들의 멘토로서, 길의 작품을 비평하고 조언을 제공합니다. 그녀는 예술적 권위를 가지고 있으며, 길에게 중요한 피드백을 줍니다.
  • 대사: "The artist's job is not to succumb to despair but to find an antidote for the emptiness of existence."
    한국어 번역: "예술가의 임무는 절망에 굴복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공허함에 대한 해독제를 찾는 것이야."

이 인물들은 각기 다른 심리적 상태와 동기를 가지고 있으며, 길 펜더의 여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영화의 메시지 

"미드나잇 인 파리"는 여러 가지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주요 메시지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과거에 대한 동경과 현재의 수용

영화는 사람들이 종종 과거를 이상화하고 동경하지만, 실제로는 현재를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길 펜더는 1920년대 파리를 동경하지만, 결국 현재의 파리에서 행복을 찾기로 결심합니다.

  • : "If you stay here, it becomes your present. And pretty soon you are gonna imagine another time was really the golden time. That's what the present is! It's a little unsatisfying because life is a little unsatisfying."
    한국어 번역: "여기 머물면 여기가 현재가 되는 거야. 그러면 곧 또 다른 시대가 진짜 황금기였다고 상상하게 될 거야. 현재란 그런 거야! 조금 불만족스러운 건 삶이 조금 불만족스럽기 때문이지."

2. 예술과 낭만의 가치

영화는 예술과 낭만이 삶에 중요한 가치를 더해준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길은 예술가들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글에 대한 자신감을 얻고, 예술적 영감을 받습니다.

  • 거트루드 스타인: "The artist's job is not to succumb to despair but to find an antidote for the emptiness of existence."
    한국어 번역: "예술가의 임무는 절망에 굴복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공허함에 대한 해독제를 찾는 것이야."

3. 현재의 삶을 사랑하라

영화는 현재의 삶을 사랑하고, 현재의 순간을 즐기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길은 과거의 낭만을 동경하지만, 결국 현재의 파리에서 새로운 인연을 만나고, 현재의 삶을 받아들이기로 결심합니다.

  • 가브리엘: "I don't mind getting wet. Actually, Paris is most beautiful in the rain."
    한국어 번역: "나는 젖는 거 상관없어요. 사실 파리는 비 올 때가 가장 아름답죠."

이 영화는 과거에 대한 동경과 현재의 수용, 예술과 낭만의 가치, 그리고 현재의 삶을 사랑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메시지들은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며, 현재의 삶을 더 소중히 여기도록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