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사회 회사 비즈니스 심리27 뇌물과 선물을 구분하며 살아가는 자세 1. have to do 그리고 must not do사회생활을 하는데 해야 할 일과 플러스알파 그리고 하지 말아야 할 일이 있다. 첫째로, 해야 할 일은 사업을 하던, 직장에 다니던 나의 그 일이 계속 영위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조건을 말한다. 사업가라면 회사의 경영 전반에 대한 일을 구상하고 결정하며 이를 추진해야 하고, 직장인이라면 개발자는 개발을, 마케팅은 마켓 활동을, 영업은 판매업무를 잘해야만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각자 하여야 하는 일들은 반드시 실행이 되어야만 사업이든 회사든 어떠한 활동이든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로, 플러스알파란 내가 일하는 조직에서의 성장을 이끄는 데 도움을 주는 나의 장점 또는 가치를 찾고 끊임없이 계발하는 것이다. 사업가라면 직원들 하나하나에 대한 관심과 .. 2024. 9. 26. 치마 길이와 경기의 상관 심리 1. ‘설’인지 ‘썰’인지 오리무중우리가 어떤 문장이나 논리에 대해서, 그것에 ‘썰’이라 말하든, ‘설’이라 붙이든, 그냥 말(씀) 일뿐이다. 앞집 아저씨가 이번에 시장에 출마한다는 ‘썰’이 있다고 말할 때도, 친구 어머니께서 최고의 직장을 그만두고 가족들과 함께 자그마한 사업을 할까 고민한다는 ‘설’이 있다고 들을 때에도, 중국의 유학자인 순자께서 "사람은 나면서부터 감성적 욕망을 가지고 있고, 이를 방임하면 사회적 혼란이 발생하므로 악하다. 그래서, 사람은 외부를 통한 배움이나 예의를 후천적으로 쌓아야 하고 수양하여야 한다."는 성악설을 공부할 때도, 역시 그저 그분들의 또는 주변에서 들은 사람들의 말(씀) 일 따름이다. 물론, 그러한 말이나 의견들이 이론이 되고, 조직이나 단체의 실행 원리나 방침.. 2024. 9. 26. 다 안다 말하는 보통 사람들의 심리 1. 이제는 다 안다 세상을 살다 보면 어느 순간, 어떠한 일이 어떻게 돌아가서 결과로 나타나게 될지를 알게 되는 나이가 있다. 국가나 사회에서 살아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기본적인 질서나 규칙 등이라면, 아주 어린 나이일 때도 어떤 사안이나 사건이 어떻게 돌아가게 될지 알 수 있다. 그보다 복잡도가 높아진다면, 시간 또는 나이가 필요하다. 다만, 유별나게 뛰어난 직감을 갖고 있는 사람은 예외적인 사례가 될 것이다. 아무튼, 이러한 세상살이에 대한 본인만의 생각을 갖게 되는 해당하는 때가 되면, 자신의 경험과 지식 그리고 이를 기반한 판단력을 가지고 순식간에 떠오르는 결론이 도출되는데, 결과를 지켜보면, 대략 맞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자신에게 닥친 아주 큰 사건이나 사안일 경우에는 그 결과에 대해 자.. 2024. 9. 25.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