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등장인물 정리

  • 오애순 (어린 시절: 김태연 / 청년: 아이유 / 중년: 문소리)
    제주 출신의 문학 소녀. '요망진 반항아'로 불릴 만큼 당차고 야무지며, 어떤 상황에서도 꺾이지 않는 강인한 존재입니다. 시인을 꿈꾸지만 현실의 벽과 가족의 비극을 겪으며 성장합니다. ‘요망진’(야무진) 문학소녀 제주·부산을 오가며 가난, 결혼, 육아, 지역사회 활동까지 삶의 전장을 통과하는 주인공. ()와 글쓰기가 자기 구원의 핵심 도구.
  • 양관식 (청년: 박보검 / 중년: 박해준)
    묵묵하고 우직한 성격의 인물. ‘팔불출 무쇠라 불리우며, 오애순을 향한 한결같고 깊은 사랑을 행동으로 표현하는 진정한 순애보입니다. 별명 무쇠’. 말수 적고 성실한 인물. “애순 편이라는 일관된 선택으로 애순의 삶의 진로를 수시로 비틀어 구해내는 실천형 사랑
  • 양금명 (아이유)
    오애순과 양관식의 첫째 딸. 엄마를 닮아 강하고 당찬 성품의 여성으로, 서울대 진학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성장과 독립을 향해 나아갑니다.
  • 양은명 (강유석)
    둘째 아들. 반항아적 기질과 가족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진 인물입니다. 양금명()양은명(아들)은 세대가 바뀌며 부모의 선택이 아이들의 길 위에서 어떻게 변주되는지 보여주는 축. 금명 곁에는 박영범(연인)과 훗날 인연이 이어지는 박충섭(극장 간판화가, 일명 깐느 지하 피카소’)이 있다
  • 양동명 (신새벽)
    막내로 어린 나이에 사고로 세상을 떠나며 가족에게 큰 슬픔을 남깁니다.
  • 애순의 어머니, 전광례 (염혜란)
    제주 해녀로 생활하며 딸을 위해 헌신하지만, 숨병으로 인해 젊은 나이에 요절합니다. 그녀의 희생은 오애순의 인생에 깊은 영향을 미칩니다
  • 애순의 가족: 할머니 김춘옥, 어머니 전광례, 새아버지 염병철가난, 재혼, 돌봄의 균열을 통해 가족이라는 안전망의 조건을 묻는다.
  • 관식의 가족: 무속인 할머니 박막천, 어머니 권계옥제주 공동체의 신앙·풍습과 생업의 결을 보여주는 축.
  • 잠녀 3인방(해녀들), 부상길네(상길·영란·현숙 등) — 애순의 공동체 정치(계장 도전), 여성 생계의 현실, 시절의 풍속을 입체로 만든 인물군. 나문희, 김용림, 오정세 등 다양한 조연들이 제주 공동체 속에서 주요 인물들과 얽히며 이야기를 풍성하게 만듭니다.

2. 전체 줄거리 요약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도의 사계절을 배경으로, 오애순과 양관식의 청춘, 중년, 노년까지를 담은 16부작 휴먼 로맨스 시대극입니다. 이 드라마는 제주 바닷가 작은 마을에서 시작해, 두 아이(애순·관식)여름가을겨울의 생애 주기를 지나 다시 봄으로 귀환하는 세대 서사입니다.

  • 1’(1–4): 가난과 결핍 속에서도 글을 쓰고자 하는 애순, 묵묵히 곁을 지키는 관식의 첫사랑이 시작됩니다. 그러나 생업·가부장·시절의 폭우가 두 사람을 흔듭니다.
  • 2여름’(5–8): 결혼·시집살이·먹고사는 문제로 사랑의 운영이 시험대에 오릅니다. 해녀 일, 일자리 전선, 태풍 같은 사건이 이어지지만, 둘은 부모가 되며 다음 막으로 건너갑니다.
  • 3가을’(9–12): 도시 살이, 자녀 진로와 연애, 부부의 균열과 연대가 교차합니다. 금명은 예술과 사랑 사이에서, 애순·관식은 부모로서의 두려움과 마주합니다.
  • 4겨울’(13–16): 짝사랑의 오래된 빚, 상실과 화해, 늙어감의 품위를 통과해 겨울 끝의 봄으로 닿습니다. 최종화 제목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어로 매우 수고 많으셨습니다라는 뜻. 개인사와 시대를 건너온 모든 존재에게 건네는 인사로 이야기가 맺힙니다. 
  • 1950년대 가난한 환경 속에서도 문학을 꿈꾸는 오애순은 시인이 되고자 하는 강인한 인물이고,
  • 양관식은 말은 없어도 온 마음으로 애순을 지킨 진실한 동반자입니다.
  • 두 사람은 세 자녀(금명, 은명, 동명)를 두며 가정을 이루고, 가족과 사랑, 상실을 깊이 겪으며 삶의 의미를 찾아갑니다.
  • 막내 동명의 죽음, 애순의 시집 출간, 관식의 죽음, 그리고 성인이 된 자녀들의 삶까지 이어지는 감동적인 여정이 펼쳐집니다.

3. 회차별 주요 내용 & 대사 정리

각 화 제목·러닝타임·요약은 넷플릭스 공식 회차 안내(1–10화 중심)위키의 에피소드 목록(전체 제목) 정보를 토대로, 서사의 결을 의미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핵심 대사는 장면의 의미를 재구성한 문장입니다.

 

1화 〈호로록 봄〉

  • 주요내용: 애순의 가난한 유년, 글을 향한 기질, 관식과의 첫 연결고리. 어른들의 결정이 아이들의 꿈을 좁히는 순간들이 겹친다.
  • 핵심 대사(의미): 배운 게 없어도 꿈은 줄어들지 않아. 배움은 나중에라도 따라가면 돼.”

2화 〈요망진 첫사랑〉

  • 주요내용: 애순·관식의 첫사랑이 본격화. 사랑의 용기 vs 현실의 장벽(집안·생계·시선).
  • 핵심 대사(의미): 사랑은 셈으로 지키지 않아. 같이 버티는 걸로 지키는 거야.”

3화 〈예스터데이. “그들의 봄은…”

  • 주요내용: 소동 끝 귀향, ‘운명에 내맡김주체적 선택의 갈림길에 선 애순.
  • 핵심 대사(의미): 내 인생을 남의 말에 맡기지 말자. 오늘의 내가 내일의 나를 구해.”

4화 〈꽈랑꽈랑 여름〉

  • 주요내용: 신혼과 시집살이, 시댁 권력 속에서 애순의 자존이 탈곡된다.
  • 핵심 대사(의미): 내가 사라지면 집은 편하겠지. 근데 나는 어디로 가?”

5화 〈한여름 밤의 만선〉

  • 주요내용: 관식은 일자리를, 애순은 가족의 안정을 붙드는 사투. 한 줄기 만선같은 희망.
  • 핵심 대사(의미): 오늘 잡은 고기가 내일의 우리를 먹여 살려.”

6화 〈살민 살아진다〉

  • 주요내용: 작은 행복들이 쌓이는 듯하다가, 예고 없이 들이치는 태풍’(사건·재난·상실)을 맞는다.
  • 핵심 대사(의미): 사는 건, 살다 보면 살아진다고 누가 그랬지.”

7화 〈자락자락 가을〉

  • 주요내용: 애순, 도동리 여성 계장 도전. 금명은 유혹과 양심의 시험대.
  • 핵심 대사(의미): 우리가 투표로 바꾸는 건 사람 한 자리 말고, 우리 사는 모양이우다.”

8화 〈변하느니 달이요, 마음이야 늙겠는가〉

  • 주요내용: 금명, 일본 유학 기회. 애순·관식에게도 묵은 꿈 하나를 펼칠 가능성.
  • 핵심 대사(의미): 마음이 늙지 않으면, 길은 늦게라도 열린다.”

9화 〈바람은 왱왱왱 마음은 잉잉잉〉

  • 주요내용: 도시의 비좁은 삶, 사춘기 은명 문제, 금명의 서울 생활 시작.
  • 핵심 대사(의미): 바람이 시끄러워도, 집은 우리가 조용히 만들면 돼.”

10화 〈품 안의 바람 품 안의 사랑〉

  • 주요내용: 금명, 새로운 동료와 가까워지고, 애순은 반복되는 불길한 꿈(엄마의 직감).
  • 핵심 대사(의미): 불안은 사랑을 단단하게도, 쉽게도 만든다. 선택은 우리 몫.”

11화 〈내 사랑 내 곁에〉

  • 주요내용: 3막의 정점. 금명의 연애·진로가 급전하며 가족의 균열과 재정비가 동시에 진행.
  • 핵심 대사(의미): 곁에 선다는 건, 같이 기뻐하고 같이 책임진다는 뜻.”

12화 〈펠롱펠롱 겨울〉

  • 주요내용: 관계가 겨울빛을 띠며 냉혹한 선택을 요구. 부모·자녀가 각자의 방식으로 성숙을 맞는다.
  • 핵심 대사(의미): 사랑이 춥다고 끝나는 건 아니여. 겨울도 계절일 뿐.”

13화 〈그추룩 짝사랑〉

  • 주요내용: 오래된 짝사랑의 빚, 말하지 못한 감정들이 늦게라도 제자리를 찾는 과정.
  • 핵심 대사(의미): 늦게 안 사랑도, 제때의 용서가 되더라.”

14화 〈훨훨 날라, 훨훨 날아 보켜〉

  • 주요내용: 붙들던 것을 내려놓고 각자의 날갯짓을 허락. 부모는 자식을, 연인은 서로를 풀어 준다.
  • 핵심 대사(의미): 네가 멀리 가도 내 마음은 짐이 아니게 할게.”

15화 〈만날 봄〉

  • 주요내용: 상실 이후에도 삶은 매일의 봄을 소환한다. 노년의 우정·연대·돌봄이 빛난다.
  • 핵심 대사(의미): 봄은 오는 게 아니라, 같이 부르는 거더라.”

16화 〈폭싹 속았수다〉(최종화)

  • 주요내용: “겨울 끝의 봄”. 세월을 건너온 모든 수고에 건네는 인사. 제목 그대로 **“정말 애쓰셨습니다”**라는 제주어의 의미를 엔딩 정서로 봉합.
  • 핵심 대사(의미): 수고했수다. 네 삶도, 내 삶도.”

4. 사회에서의 진정한 삶이란 무엇인가?

이 드라마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사회적 삶의 메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꿈과 현실 사이의 균형
    애순의 문학적 꿈과 생존을 위한 현실 사이의 갈등은, 모두가 동시에 추구하는 삶의 가치가 다름을 알려줍니다.
  2. 묵묵한 사랑의 위대함
    양관식이 보여준 사랑은 말이 아닌 행동 중심의 진정성과 헌신을 강조합니다.
  3. 공동체의 연대와 희생
    제주 마을 사람들의 따뜻한 관계들은, 사회에서 상호 부조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줍니다.
  4. 상실 속에서의 성장
    개인의 고통과 가족의 상실을 겪으면서도, 각 인물은 더욱 깊고 넉넉한 인간으로 성장합니다.
  5. 세대 간 소통과 이해
    부모 세대와 자식 세대 간의 삶과 가치를 이어가는 과정이 진정한 삶의 연속성과 의미를 제시합니다.

[ 요약 정리 ]

항목 내용
등장인물 애순, 관식, 금명, 은명, 동명, 전광례 외
전체 줄거리 제주 사계절 배경, 부부의 꿈·사랑·상실·성장 이야기
회차별 요약 첫 회 중심: 어머니 상실과 애순 성장
사회적 메시지 꿈과 현실, 헌신적 사랑, 공동체, 상실 속 성장, 세대 간 이해

 

반응형

영화 마지막 게임(The Last Thing He Wanted)’ (앤 해서웨이 주연, 2020년 작품, 조안 디디언 원작 소설 기반)에 대한 정치적 배경, 그리고 이해하기 어려운 주요 장면 해설입니다.


1. 배경 사건과 정치적 상황 

  1)    1980년대 미국의 이란콘트라(Iran–Contra) 사건 배경

    -      레이건 행정부가 니카라과 내 콘트라 반군을 비밀리에 무장 지원한 스캔들의 실화 기반.

    -      공식적으로는 금지된 무기 제공이었지만, 정부 일부와 CIA가 개입해 비밀거래를 진행함.

  2)    영화 속 배경

    -      앨레나(Elena)는 워싱턴포스트 기자였으나 아버지의 부탁으로 중앙아메리카 무기 밀매 거래에 휘말립니다.

    -      정치적 음모 속에서 미국 정부와 CIA 고위 인물들, 그리고 무명의 섬에 숨겨진 작전기지가 등장합니다.


2. 주요 혼란 장면들에 대한 해설

🔹 호텔에 있던 엘레나가 괴한들에 의해 살해 위협받은 이유

  • 엘레나는 아버지의 거래를 대신하면서, **가짜 신분증(Elise Meyers)**을 받고 무기 수송자로 암암리에 참여하게 됩니다.
  • 호텔 방에서 돈과 필름, 명함 등을 통해 엘레나의 존재가 정치적 음모담당자에게 노출됩니다.
  • 이로 인해 암살 또는 협박의 목표가 되며, 괴한들이 그녀를 제거하라는 지시를 받습니다.

🔹 엘레나가 존스(Jones)의 보호 거처에서 도망친 이유

  • 존스는 프랑스 정보기관 요원으로, 엘레나를 몇 차례 구조하고 안전한 장소로 데려갑니다.
  • 하지만 엘레나는 누가 신뢰할 수 있는지 알 수 없는 혼란 상태에 있고, 내면적 불안, 자기혐오, 자아 해체 상태에 빠져 있습니다.
  • 다시 잡혀갈까 두려워, 자발적으로 존스의 보호를 회피하며 자유와 통제에서 벗어나려는 심리로 도망친 것입니다.

🔹 트리트(Treat, Ben Affleck)가 엘레나를 죽인 이유

  • 영화에서는 Treat Morrison CIA 또는 국무부 고위 정치 브로커 겸 해결사 역할을 수행합니다.
  • 영화 후반에서 그는 엘레나에게 접근해 도와주겠다고 약속하지만, 결국 그녀가 너무 많은 사실을 알고 있다는 이유로 직접 총격을 가합니다.
  • 자신이 속한 시스템(미국 정부)의 음모를 유지하기 위해, 엘레나는 제거되어야 할 공범또는 희생양이 됩니다.
  • 이후 언론에선 엘레나가 암살범이었다는 거짓 자백을 내며, Treat는 자신의 행동을 자기방어로 발표합니다.

🔹 존스(Jones)는 누구인가? 왜 계속 나타나는가?

  • Edi Gathegi가 연기한 Jones는 프랑스 정보기관 요원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엘레나를 몇 차례 구조합니다.
  • 그는 Treat나 미국 측 음모로부터 엘레나를 보호하려는 비밀스러운 구원자입니다.
  • 주요 의미:

3. 정리

질문 설명 요약
호텔에서 엘레나는 왜 살해 위협을 받았나? 아버지의 무기 밀매 계획이 조작이며, 엘레나가 희생양으로 설정됨
존스 보호 거처에서 엘레나는 왜 도망쳤나? 혼란 상태, 통제당하기 싫은 심리, 자기 보호 본능
트리트가 엘레나를 죽인 이유 정치적 음모 유지 및 체면 보호를 위해, 엘레나 제거 결정
존스는 누구인가? 프랑스 정보기관 요원. 엘레나를 진심으로 보호하려 했던 인물

4. 이해 어려운 감정 표현: 엘레나의 심리 상태

  • 조안 디디언 원작에 따라 엘레나의 동기는 불확실하고 모호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그녀는 "무력감, 혼란, 염세" 상태에 빠져 있습니다.
  • 영화는 이를 직접적으로 해설하기보다 느낌과 흐름 중심의 연출에 의존하여 많은 관객이 왜 엘레나는 행동했는가?”에 답을 찾기 어렵습니다.
  • 결국 엘레나는 정치 권력의 희생양이자,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사건의 관통점으로 남습니다.

5. 마무리: 영화 감상 팁

  • 이 작품은 정치 음모, 음모에 휘말린 개인, 국가 권력의 부패 등을 다루고 있지만, 매우 산발적·파편적인 연출로 인해 이해가 어렵습니다.
  • 엘레나의 내면 흐름, Treat의 배신, 존스의 등장 등 관찰 포인트를 중심으로 장면을 해석하면, 보다 선명한 이해가 가능합니다.
  • 마지막으로, 소설 원작은 영화보다 더 깊고 구성 있는 서사를 제공하므로 (가능하다면) 함께 읽어보는 것도 권장됩니다.
반응형

욕심은 인간의 본성 중 하나로, 우리 삶의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칩니다. 욕심은 때로는 목표를 향한 동기부여가 되기도 하지만, 과도한 욕심은 개인과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욕심에 대해 그동안 소개한 글은 영화 더 킹: 헨리5세(The King, 2019)에서 자신의 욕심만을 생각하는 구성원들과 그에 대한 처리를 정리하였고,  '인사를 통해 알아보는 아침의 시작'이라는 글에서는 인공지능과 인간지능으로 구분하여 잠시 인간의 욕심에 대해 생각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영화 명당은 더 나은 또는 최고의 명당(밝은 집터)를 찾고자 하는 욕심이 가져오는 결과를 통해, 우리가 어떻게 욕심을 다스리고 현명하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합니다. 욕심을 적절히 조절하고, 내면의 평화와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메시지는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며, 우리 모두가 한 번쯤 되새겨봐야 할 주제입니다.

반응형

 

1. 영화 소개

 

. 영화 감독과 출연진 소개

영화 명당 2018년 개봉한 한국 영화로, 박희곤 감독이 연출을 맡았습니다. 주요 출연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조승우: 박재상 역
  • 지성: 흥선대원군 역
  • 김성균: 김병기 역
  • 백윤식: 김좌근 역
  • 문채원: 초선 역
  • 유재명: 구용식 역

. 영화의 줄거리

영화는 천재 지관 박재상(조승우)이 명당을 이용해 나라를 지배하려는 장동 김씨 가문의 계획을 막으려다 가족을 잃는 이야기로 시작됩니다. 13년 후, 박재상은 몰락한 왕족 흥선대원군(지성)과 손을 잡고 장동 김씨 세력을 몰아내려 합니다. 두 사람은 두 명의 왕이 나올 천하명당의 존재를 알게 되고, 서로 다른 뜻을 품게 됩니다. 결국, 박재상과 흥선대원군은 명당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싸움을 벌이게 됩니다.

 

 

2. 영화 속 두 주인공(박재상과 흥선대원군)의 각각의 심리단계 및 관련 대사 소개

  • 박재상: 가족을 잃은 후 복수심에 불타는 박재상은 처음에는 정의를 위해 싸우지만, 점차 자신의 욕망과 복수심에 휘말리게 됩니다.
    그의 주요 대사 중 하나는 "이 땅이 흉지라고 말했지만, 아무도 믿지 않았다"입니다.
  • 흥선대원군: 처음에는 몰락한 왕족으로서 권력을 되찾기 위해 박재상과 협력하지만, 점차 자신의 야망을 드러내며 박재상과 갈등을 빚게 됩니다.
    그의 주요 대사 중 하나는 "이 나라의 왕이 될 자는 나다"입니다.


3.
인간의 욕심에 대처하는 현명한 방법 7가지 소개

  1. 자기 인식과 성찰: 자신의 욕심을 인식하고 성찰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2. 명상과 마음 챙김: 정기적인 명상과 마음 챙김을 통해 욕심을 조절합니다.
  3. 목표 설정과 우선순위 정하기: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우선순위를 정합니다.
  4. 사회적 지원과 상호 작용: 가족과 친구의 지지를 받으며 긍정적인 상호 작용을 유지합니다.
  5. 균형 잡힌 삶 추구: 일과 여가, 개인적 성장과 사회적 활동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6. 심리 상담과 치료: 필요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심리 상담이나 치료를 받습니다.
  7. 문화적 가치와 사회적 규범 이해: 사회적 비교와 경쟁을 피하고, 자신의 가치를 인정합니다.

 

 

4. 영화의 메시지

영화 명당은 인간의 욕망과 권력에 대한 탐욕이 어떻게 개인과 사회를 파괴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또한, 진정한 명당은 외부의 조건이 아니라 내면의 평화와 균형에서 온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반응형

사회생활중에도 나에게 발생하는 다양한 유형의 신뢰와 생존에 대한 고민을 합니다.

 

이전에 소개한 영화 언 애듀케이션(An Education, 2009)에서는 우리가 사기꾼을 어떻게 알아볼지 그 사기꾼이 사람들의 신뢰를 얻기위해 어떠한 수단을 사용하는를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영화 마더/안드로이드(Mother/Android, 2022)에서는 사회인의 필수핌인 AI와 AI환경에서의 생존을 그리고 있습니다. 

 

영화 힛쳐에서는 신뢰와 생존의 경계를 보여주며, 많은 생각을 자아내고 깨닫게 합니다.

 

 

1. 영화 힛쳐

영화 ‘힛쳐(The Hitcher)’ 2007년에 개봉한 로드 스릴러 영화로, 데이브 마이어스가 감독을 맡았습니다. 이 영화는 1986년에 개봉한 동명 영화의 리메이크작입니다.

반응형

주요 출연진

영화의 줄거리

영화는 캠퍼스 커플인 그레이스와 짐이 방학을 맞아 여행을 떠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비가 억수같이 쏟아지는 밤, 그들은 도로 한복판에서 히치하이킹을 하는 남자, 존 라이더를 만나게 됩니다. 처음에는 그를 도와주기로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존의 행동은 점점 더 위협적으로 변합니다.

 

존은 그레이스와 짐을 끔찍한 공포 속으로 몰아넣으며, 그들의 여행은 순식간에 악몽으로 변합니다. 존의 지능적이고 치밀한 계획 속에서 그레이스와 짐은 생존을 위해 필사적으로 싸워야 합니다.

결국, 그레이스와 짐은 존의 손아귀에서 벗어나기 위해 여러 차례의 위기를 겪습니다. 마지막에는 그레이스가 존을 처치하며 영화는 끝이 납니다. 이 과정에서 그레이스는 자신의 강인함을 발견하고, 존의 공포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이 영화는 낯선 사람을 함부로 태우면 안 된다는 교훈을 주며, 긴장감 넘치는 스릴러로 많은 관객들에게 인상을 남겼습니다.

 

 

2. 남녀 주인공의 심리 변화 

영화 힛쳐에서 남자 주인공 짐과 여자 주인공 그레이스의 심리 변화와 그에 해당하는 주요 대사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가. 짐 할슬리 (Jim Halsey)

  1) 초기 심리 상태

  • 심리 상태: 짐은 여행을 즐기며 낙관적이고 여유로운 상태입니다.
  • 대사: "It's just a road trip. What could go wrong?" (그냥 여행일 뿐이야. 뭐가 잘못될 수 있겠어?)

  2) 중반 심리 상태

  • 심리 상태: 존 라이더의 위협이 시작되면서 불안과 공포가 커집니다.
  • 대사: "Who are you? What do you want from us?" (당신 누구야? 우리에게서 뭘 원하는 거야?)

  3) 후반 심리 상태

  • 심리 상태: 생존을 위해 결단력과 용기를 발휘합니다.
  • 대사: "I won't let you hurt her!" (그녀를 다치게 하지 않을 거야!)

 나. 그레이스 앤드루스 (Grace Andrews)

  1) 초기 심리 상태

  • 심리 상태: 그레이스는 짐과 함께하는 여행을 즐기며 행복한 상태입니다.
  • 대사: "This is going to be the best trip ever!" (이번 여행은 최고가 될 거야!)

  2) 중반 심리 상태

  • 심리 상태: 존 라이더의 등장으로 인해 극도의 공포와 혼란을 겪습니다.
  • 대사: "Please, just let us go!" (제발, 우리를 그냥 보내줘!)

  3) 후반 심리 상태

  • 심리 상태: 존 라이더와의 대결에서 강인함과 결단력을 보여줍니다.
  • 대사: "It's over, John. You won't hurt anyone else." (끝났어, . 더 이상 아무도 다치게 하지 않을 거야.)

이 영화는 주인공들이 극한 상황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성장하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3. 사회생활에서 오해받는 상황들 대처하기

사회생활에서 선의의 뜻과 행동이 오해를 받는 상황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현명하게 판단하고 대처하는 방법을 몇 가지 단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상황 파악

먼저, 오해가 발생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떤 행동이나 말이 오해를 불러일으켰는지, 그리고 그로 인해 어떤 반응이 나타났는지를 명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2. 감정 조절

오해를 받았을 때 감정적으로 반응하기 쉽지만, 침착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정적으로 대응하면 상황이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깊게 숨을 쉬고, 차분하게 상황을 바라보세요.

3. 의사소통

오해를 풀기 위해서는 열린 마음으로 대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도를 설명하고, 그들의 입장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세요. 예를 들어, "제가 이렇게 행동한 이유는..." 또는 "당신이 이렇게 느낀 이유를 이해하고 싶습니다"와 같은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경청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들이 왜 오해했는지,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들어보세요. 경청은 신뢰를 쌓고, 오해를 풀어가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5. 사과와 수정

만약 자신의 행동이 오해를 불러일으켰다면, 진심으로 사과하고 상황을 수정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세요. "제가 잘못 생각했네요. 죄송합니다. 앞으로는 더 신중하게 행동하겠습니다"와 같은 진심 어린 사과는 큰 효과가 있습니다.

6. 피드백(Feedback) 요청

상대방에게 피드백을 요청하여 앞으로 비슷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세요. "앞으로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와 같은 질문을 통해 상대방의 의견을 듣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7. 자기 성찰

마지막으로, 이번 경험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성장의 기회로 삼으세요. 어떤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한지, 어떻게 하면 더 나은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세요.

이러한 단계를 통해 오해를 풀고, 더 나은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4. 영화의 메시지 

영화 힛쳐는 단순한 로드 스릴러를 넘어, 여러 가지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첫째, 신뢰와 경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영화는 낯선 사람을 쉽게 신뢰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주인공들이 히치하이커를 태우면서 시작된 악몽은, 타인에 대한 경계심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교훈을 줍니다.

 

둘째, 생존 본능과 인간의 강인함을 다룹니다. 주인공들은 극한의 공포 속에서도 생존을 위해 싸우며, 자신들이 생각하지 못했던 강인함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는 인간이 위기 상황에서 얼마나 강해질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셋째, 도덕적 딜레마를 제시합니다. 주인공들은 자신들의 생존을 위해 때로는 도덕적 기준을 넘어서야 하는 상황에 직면합니다. 이는 관객들에게 도덕적 선택의 어려움과 그에 따른 책임을 생각하게 합니다.

 

넷째, 공포와 불안의 극복을 이야기합니다. 영화는 주인공들이 공포와 불안을 극복하고, 결국에는 자신들을 위협하는 존재를 물리치는 과정을 통해, 두려움을 이겨내는 용기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마지막으로, 인간 관계의 복잡성을 보여줍니다. 주인공들 간의 신뢰와 협력, 그리고 히치하이커와의 대립은 인간 관계의 복잡성과 그 안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감정을 잘 나타냅니다.

 

이 영화는 단순한 스릴러 이상의 깊은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관객들에게 다양한 생각할 거리를 제공합니다.

 

반응형

우리가 직접 경험하거나 상상하기는 쉽지 않지만, 범죄 현장 청소는 일반적인 청소와는 달리, 매우 특수하고 어려운 작업으로, 이 직업은 여러 어려움이 있을 것입니다. 

먼저 범죄 현장 청소는 살인, 자살, 사고 등으로 인해 발생한 혈액, 체액, 생체 폐기물 등을 처리해야 합니다. 이러한 현장을 직접 목격하는 것은 큰 정신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구더기, 부패한 시체 등을 처리하는 과정은 육체적으로도 매우 힘들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전염될 수 있는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낮아, 종종 오해를 받거나 경시되는 경우와 같은 사회적 오해를 감수해야 할수도 있을것 입니다.

영화 선샤인 클리닝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극복하고, 사업이나 직업에 귀천이 없음을 보여주면서, 가족간의 유대와 사람을 그리고 있습니다. (참조로 명랑하고 즐거운 사업과 직업에 귀천이 없는 범죄영화 극한직업(2019)이나 사회정의를 유쾌하게 그린 영화 검사외전(2016)에 대한 글도 있습니다.)

 

1. 영화 선샤인 클리닝

영화 선샤인 클리닝(Sunshine Cleaning) 2008년에 개봉한 미국의 코미디 드라마 영화입니다. 뉴질랜드 출신의 크리스틴 제프스(Christine Jeffs)가 감독을 맡았고, 시나리오 작가인 메건 홀리(Megan Holley)가 각본을 썼습니다.

주요 출연진

  • 에이미 아담스(Amy Adams) - 로즈 로코스키 역
  • 에밀리 블런트(Emily Blunt) - 노라 로코스키 역
  • 앨런 아킨(Alan Arkin) - 조 로코스키 역
  • 제이슨 스페박(Jason Spevack) - 오스카 로코스키 역
  • 스티브 잔(Steve Zahn) - 맥 역
  • 메리 린 라이스커브(Mary Lynn Rajskub) - 린 역
  • 클리프톤 콜린스 주니어(Clifton Collins Jr.) - 윈스턴 역
  • 에릭 크리스찬 올슨(Eric Christian Olsen) - 랜디 역

영화의 줄거리

로즈 로코스키(에이미 아담스, Amy Adams)는 한때 고등학교 치어리더 리더였지만, 현재는 싱글맘으로 아들 오스카(제이슨 스페박, Jason Spevack)를 키우며 호텔과 집 청소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녀의 여동생 노라(에밀리 블런트, Emily Blunt)도 마찬가지로 직장을 자주 잃고 아버지 (앨런 아킨)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로즈는 아들을 사립학교에 보내기 위해 큰 돈이 필요하게 되자, 범죄 현장 청소라는 새로운 직업을 선택합니다. 노라와 함께 '선샤인 클리닝(Sunshine Cleaning)'이라는 청소업체를 차리고, 각종 범죄 현장을 청소하며 사업을 확장해 나갑니다.

 

하지만 사업은 순탄치 않습니다. 로즈가 베이비 샤워에 참석한 사이, 노라의 사소한 실수로 청소 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사업은 큰 타격을 입습니다. 그때, 베이비 샤워에 참석했던 로즈는 친구들 사이에서 청소부로 전락하며 창피를 당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자매는 서로를 이해하고 다시 힘을 내어 사업을 재건하려고 합니다.  

 

결국, 로즈와 노라는 아버지와 함께 새로운 청소업체를 설립하며 가족의 재기를 꿈꾸게 됩니다.

 

이 영화는 두 자매가 범죄 현장을 청소하며 겪는 다양한 에피소드와 그 과정에서 성장하는 모습을 그린 힐링 영화입니다. 에이미 아담스와 에밀리 블런트의 열연이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2. 두 자매의 심리 변화와 대사들 

선샤인 클리닝에서 두 자매, 로즈와 노라의 심리 변화는 영화의 핵심 요소입니다. 이들의 심리적 여정을 단계별로 정리하고, 관련된 대사를 함께 정리합니다.

 

1. 초기 상태: 좌절과 무기력

  • 로즈: 한때 인기 많던 치어리더였지만, 현재는 싱글맘으로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청소 일을 합니다. 그녀는 자신의 삶에 대한 불만과 좌절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I used to be somebody. Now I'm just a maid." (나도 한때는 대단했어. 지금은 그냥 청소부일 뿐이야.)
  • 노라: 직장을 자주 잃고, 아버지와 함께 살며 인생에 대한 목표나 방향성을 잃은 상태입니다.
    "I don't know what I'm doing with my life." (내 인생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 모르겠어.)   

2. 새로운 도전: 범죄 현장 청소

  • 로즈: 아들을 사립학교에 보내기 위해 범죄 현장 청소라는 새로운 도전을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그녀는 자존감을 회복하려고 노력합니다.
    "We are helping people. We are making a difference." (우리는 사람들을 돕고 있어. 우리는 변화를 만들고 있어.)
  • 노라: 언니의 제안으로 청소 일을 시작하지만, 여전히 무기력하고 실수를 저지르기도 합니다.
    "I can't do anything right." (나는 아무것도 제대로 할 수 없어.)

3. 갈등과 위기: 화재 사건

  • 로즈: 노라의 실수로 화재가 발생하면서 사업에 큰 타격을 입고, 자매 간의 갈등이 심화됩니다.
    "You always mess things up!" (너는 항상 일을 망쳐!)
  • 노라: 자신의 실수로 인해 자책하며, 언니와의 관계도 악화됩니다.
    "I'm sorry, I didn't mean to ruin everything." (미안해, 모든 걸 망치려던 건 아니었어.)

4. 화해와 성장: 서로를 이해하기 시작

  • 로즈: 노라와의 대화를 통해 서로의 상처를 이해하고, 다시 힘을 합치기로 결심합니다.
    "We can do this together. We are stronger than we think." (우리는 함께 할 수 있어. 우리는 생각보다 강해.)  
  • 노라: 언니와의 화해를 통해 자신감을 회복하고, 새로운 시작을 다짐합니다.
    "Thank you for believing in me." (나를 믿어줘서 고마워.)

5. 새로운 시작: 가족의 재기

  • 로즈와 노라: 아버지와 함께 새로운 청소업체를 설립하며, 가족의 재기를 꿈꾸게 됩니다.
    "This is our chance to start over." (이건 우리가 다시 시작할 기회야.)

이 영화는 두 자매가 서로를 이해하고 지지하며 성장하는 과정을 통해 가족의 소중함을 일깨워줍니다.

 

 

3. 범죄 현장 청소 사업 

선샤인 클리닝에서 두 자매가 운영하는 사업은 범죄 현장 청소입니다. 이 특수한 직업군은 일반적인 청소와는 달리, 범죄나 사고 현장에서 발생한 혈액, 체액, 생체 폐기물 등을 전문적으로 청소하고 소독하는 일을 포함합니다. 이 직업은 바이오하자드 청소 또는 범죄 현장 청소라고도 불립니다.

 

주요 업무

  1. 사고 및 범죄 현장 청소: 살인, 자살, 사고 등으로 인해 발생한 혈액과 체액을 청소하고 소독합니다.
  2. 생체 폐기물 처리: 혈액, 체액, 조직 등 생체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합니다.
  3. 소독 및 탈취: 현장을 소독하고 악취를 제거하여 안전한 환경을 만듭니다.
  4. 심리적 지원: 유족이나 피해자에게 심리적 지원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기술 및 장비

  • 보호 장비: 방호복, 장갑, 마스크 등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합니다.
  • 전문 청소 도구: 강력 세척제, 소독제, 냄새 제거제 등을 사용합니다.
  • 폐기물 처리 장비: 생체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한 특수 장비가 필요합니다.

이 직업은 단순한 청소를 넘어, 심리적 지원과 사회적 기여를 포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영화 속에서 두 자매는 이 일을 통해 자존감을 회복하고, 가족의 유대감을 강화하게 됩니다.

 

 

4. 사업과 직업이 무엇인가는 중요한 것이 아니다 

선샤인 클리닝은 가족의 유대와 재기를 중심으로 한 감동적인 이야기입니다. 영화는 두 자매, 로즈와 노라가 범죄 현장 청소라는 특수한 직업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그립니다.

 

로즈는 싱글맘으로 아들을 위해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고, 노라는 언니와 함께 일하며 자신의 삶을 재정비합니다. 이 과정에서 자매는 과거의 상처와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며, 서로에게 힘이 되어줍니다. 영화는 특히 가족의 소중함과 서로를 지지하는 힘을 강조합니다.

 

또한, 영화는 실패와 좌절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다시 일어서는 모습을 통해 관객에게 용기와 희망을 줍니다. 로즈와 노라는 사업의 실패와 갈등을 겪지만, 결국 서로를 이해하고 화해하며 새로운 시작을 다짐합니다.

 

이 영화는 단순한 코미디 드라마를 넘어, 인생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가족의 사랑과 지지를 통해 성장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관객에게 따뜻한 위로와 희망을 전하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반응형

경축, 축하, 파티의 장소에 빠지지 않는 것 중 하나가 샴페인입니다.

 

세계 최대의 LVMH그룹 모엣 & 샹동(Moët & Chandon)의 최고급 샴페인 돔 페리뇽(Dom Pérignon)은 1668년 피에르 페리뇽(Pirre Perignon) 수도사에 의해서 프랑스(France) 샹파뉴(Champagne)에 있는 베네딕틴 오빌리에 수도원(Benedictine Hautvillers Abbaye)에서 제조되었다고 합니다.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에서는 모엣 & 샹동(Moët & Chandon) 임페리얼 브뤼 샴페인이 나옵니다. 또한, 영화 엘리제궁의 요리사(HAUTE CUISINE, 2015)와 영화 프렌치 키스(French Kiss, 1995)에서는 아름다운 프랑스의 다양한 풍경들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기분좋은 일과 함께 현재의 삶이 소중한 이유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입니다.

 

 

1.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Midnight In Paris)'는 우디 앨런이 감독하고 각본을 쓴 2011년 로맨틱 판타지 코미디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2011년 칸 영화제에서 초연되었습니다.

제작진

  • 감독: 우디 앨런(Woody Allen, Allan Stewart Konigsberg)
  • 각본: 우디 앨런
  • 제작: 레티 아론슨, 스티븐 테넌바움, 자우메 루레스
  • 촬영: 다리우스 콘지
  • 편집: 얼리사 렙셀터
  • 제작사: 그라비어 프로덕션, 미디어프로, 베르사틸 시네마
  • 배급사: 소니 픽처스 클래식스
반응형

 

출연진

  • 오언 윌슨: 길 펜더
  • 레이철 맥아담스: 이네즈
  • 마리옹 코티야르: 아드리아나
  • 캐시 베이츠: 거트루드 스타인
  • 코리 스톨: 어니스트 헤밍웨이
  • 에이드리언 브로디: 살바도르 달리
  • 카를라 브루니: 미술관 가이드
  • 마이클 신:
  • 톰 히들스턴: F. 스콧 피츠제럴드
  • 커트 풀러:
  • 가드 엘마레: 형사
  • 아드리안 데 반: 루이스 부뉴엘

영화의 줄거리

영화는 소설가 길 펜더(오언 윌슨,Owen Wilson)와 그의 약혼녀 이네즈(레이철 맥아담스, Rachel Anne McAdams )가 파리로 여행을 떠나면서 시작됩니다. 길은 파리의 낭만을 사랑하지만, 이네즈는 파리의 화려함을 즐기고 싶어합니다. 어느 날 밤, 길은 혼자 파리의 밤거리를 산책하다가 자정이 되자 클래식 푸조 자동차를 타고 1920년대 파리로 시간 여행을 하게 됩니다.

 

1920년대 파리에서 길은 어니스트 헤밍웨이, F. 스콧 피츠제럴드, 살바도르 달리 등 전설적인 예술가들과 친구가 됩니다. 그는 특히 피카소의 연인 아드리아나(마리옹 코티야르, Marion Cotillard)에게 매력을 느끼게 됩니다. 길은 매일 밤 1920년대로 돌아가며 예술가들과의 만남을 즐기고, 자신의 글에 대한 비평을 거트루드 스타인(캐시 베이츠, Kathy Bates,  Kathleen Doyle Bates)에게 부탁합니다.

 

그러나 아드리아나는 그녀의 시대보다 과거인 1890년대를 동경하며, 길과 함께 그 시대로 시간 여행을 떠납니다. 아드리아나는 결국 1890년대에 남기로 결심하고, 길은 혼자 2010년대로 돌아옵니다. 드디어, 길은 현재의 파리에서 새로운 시작을 결심하며, 비 오는 파리의 거리를 걷다가 가브리엘(레아 세이두, Lea Seydoux)과 함께 새로운 인연을 맺게 됩니다.

 

이 영화는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로맨스를 통해, 현재의 삶에 대한 만족과 과거에 대한 동경을 동시에 그려내고 있습니다.

 

 

2. 주인공의 심리 변화와 현재의 수용 

길 펜더의 심리 변화는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의 핵심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의 심리적 여정을 단계별로 정리하고, 관련된 영화 대사를 함께 소개합니다.

 

 

1. 현재에 대한 불만과 과거에 대한 동경

길은 현재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과거의 낭만적인 시대로 돌아가고 싶어합니다. 그는 약혼녀 이네즈와의 관계에서도 불만을 느끼며, 파리에서의 삶을 꿈꿉니다.

  • : "I would like to live in Paris in the 1920s. That was the golden age."
    한국어 번역: "나는 1920년대 파리에서 살고 싶어. 그때가 황금기였지."

2. 시간 여행을 통한 자아 발견

길은 자정에 클래식 푸조 자동차를 타고 1920년대로 시간 여행을 하게 됩니다. 그곳에서 그는 어니스트 헤밍웨이, F. 스콧 피츠제럴드, 살바도르 달리 등 전설적인 예술가들을 만나며 자신의 글에 대한 자신감을 얻게 됩니다.

  • 헤밍웨이: "All cowardice comes from not loving or not loving well, which is the same thing."
    한국어 번역: "모든 비겁함은 사랑하지 않거나 잘 사랑하지 않아서 생기는 거야. 둘 다 같은 거지."

3. 아드리아나와의 만남과 사랑

길은 피카소의 연인 아드리아나를 만나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아드리아나와의 만남을 통해 길은 자신의 과거 동경이 단순한 환상일 수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 아드리아나: "I was born too late."
    한국어 번역: "나는 너무 늦게 태어났어."

4. 현실과 환상의 경계

길은 아드리아나와 함께 1890년대로 시간 여행을 떠나게 됩니다. 아드리아나는 그 시대에 남기로 결심하지만, 길은 현재로 돌아가기로 결심합니다. 그는 과거를 동경하는 것이 현재의 불만족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닫습니다.

대사:

  • : "If you stay here, it becomes your present. And pretty soon you are gonna imagine another time was really the golden time. That's what the present is! It's a little unsatisfying because life is a little unsatisfying."
    한국어 번역: "여기 머물면 여기가 현재가 되는 거야. 그러면 곧 또 다른 시대가 진짜 황금기였다고 상상하게 될 거야. 현재란 그런 거야! 조금 불만족스러운 건 삶이 조금 불만족스럽기 때문이지."

5. 현재의 삶에 대한 수용

길은 현재의 파리로 돌아와 이네즈와의 관계를 정리하고, 새로운 인연인 가브리엘을 만나게 됩니다. 그는 현재의 삶을 받아들이고, 과거의 환상에서 벗어나기로 결심합니다.

  • 가브리엘: "I don't mind getting wet. Actually, Paris is most beautiful in the rain."
    한국어 번역: "나는 젖는 거 상관없어요. 사실 파리는 비 올 때가 가장 아름답죠."

길 펜더의 심리 변화는 과거에 대한 동경에서 시작해, 현재의 삶을 수용하는 과정으로 이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진정한 행복을 찾게 됩니다.

 

 

3. 주요 인물들의 심리에 대하여 

"미드나잇 인 파리"의 주요 인물들은 각기 다른 심리적 상태와 동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 몇 가지 주요 인물들의 심리 상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이네즈 (레이철 매캐덤스)

심리 상태: 현실적이고 물질주의적

  • 이네즈는 파리의 낭만보다는 쇼핑과 사교 활동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그녀는 길의 예술적 열망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의 과거에 대한 동경을 비현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 대사: "You always take the side of the help. That's why Daddy says you're a communist."
    한국어 번역: "당신은 항상 하인 편을 들어. 그래서 아빠가 당신을 공산주의자라고 하는 거야."

2. 아드리아나 (마리옹 코티야르)

심리 상태: 과거에 대한 동경과 현재에 대한 불만

  • 아드리아나는 1920년대 파리에서 살고 있지만, 그녀는 벨 에포크 시대를 동경합니다. 그녀는 현재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과거의 낭만적인 시대로 돌아가고 싶어합니다.
  • 대사: "I can never decide whether Paris is more beautiful by day or by night."
    한국어 번역: "파리가 낮에 더 아름다운지 밤에 더 아름다운지 결코 결정할 수 없어."

3. 어니스트 헤밍웨이 (코리 스톨)

심리 상태: 강한 자아와 용기

  • 헤밍웨이는 강한 자아와 용기를 강조하며, 길에게도 용기를 가지라고 조언합니다. 그는 자신의 글과 삶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으며, 길에게도 자신감을 불어넣어 줍니다.
  • 대사: "If you're a writer, declare yourself the best writer!"
    한국어 번역: "네가 작가라면, 자신을 최고의 작가라고 선언해!"

4. (마이클 신)

심리 상태: 지적 허영심과 자기 과시

  • 폴은 자신이 모든 것을 알고 있다는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지식을 과시하려 합니다. 그는 길의 예술적 열망을 무시하고, 이네즈와의 관계에서도 우월감을 드러냅니다.
  • 대사: "You know, the interesting thing about Monet's 'Water Lilies' is the interplay of light and shadow."
    한국어 번역: "모네의 '수련'에서 흥미로운 점은 빛과 그림자의 상호작용이야."

5. 거트루드 스타인 (캐시 베이츠)

심리 상태: 예술적 권위와 멘토링

  • 거트루드 스타인은 예술가들의 멘토로서, 길의 작품을 비평하고 조언을 제공합니다. 그녀는 예술적 권위를 가지고 있으며, 길에게 중요한 피드백을 줍니다.
  • 대사: "The artist's job is not to succumb to despair but to find an antidote for the emptiness of existence."
    한국어 번역: "예술가의 임무는 절망에 굴복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공허함에 대한 해독제를 찾는 것이야."

이 인물들은 각기 다른 심리적 상태와 동기를 가지고 있으며, 길 펜더의 여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영화의 메시지 

"미드나잇 인 파리"는 여러 가지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주요 메시지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과거에 대한 동경과 현재의 수용

영화는 사람들이 종종 과거를 이상화하고 동경하지만, 실제로는 현재를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길 펜더는 1920년대 파리를 동경하지만, 결국 현재의 파리에서 행복을 찾기로 결심합니다.

  • : "If you stay here, it becomes your present. And pretty soon you are gonna imagine another time was really the golden time. That's what the present is! It's a little unsatisfying because life is a little unsatisfying."
    한국어 번역: "여기 머물면 여기가 현재가 되는 거야. 그러면 곧 또 다른 시대가 진짜 황금기였다고 상상하게 될 거야. 현재란 그런 거야! 조금 불만족스러운 건 삶이 조금 불만족스럽기 때문이지."

2. 예술과 낭만의 가치

영화는 예술과 낭만이 삶에 중요한 가치를 더해준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길은 예술가들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글에 대한 자신감을 얻고, 예술적 영감을 받습니다.

  • 거트루드 스타인: "The artist's job is not to succumb to despair but to find an antidote for the emptiness of existence."
    한국어 번역: "예술가의 임무는 절망에 굴복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공허함에 대한 해독제를 찾는 것이야."

3. 현재의 삶을 사랑하라

영화는 현재의 삶을 사랑하고, 현재의 순간을 즐기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길은 과거의 낭만을 동경하지만, 결국 현재의 파리에서 새로운 인연을 만나고, 현재의 삶을 받아들이기로 결심합니다.

  • 가브리엘: "I don't mind getting wet. Actually, Paris is most beautiful in the rain."
    한국어 번역: "나는 젖는 거 상관없어요. 사실 파리는 비 올 때가 가장 아름답죠."

이 영화는 과거에 대한 동경과 현재의 수용, 예술과 낭만의 가치, 그리고 현재의 삶을 사랑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메시지들은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며, 현재의 삶을 더 소중히 여기도록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