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하지 않은 어려움이 발생하였을 때나 나의 철학에 따른 언행으로 의외의 결과를 맞이하게 되었을때가 있습니다.

 

영화 '인 굿 컴퍼니(In Good Company, 2004)'에서는 젊은 CEO와 나이 많은 직원의 다양한 갈등과 화해의 과정 그리고 나이 많은 직원 댄의 딸의 성장을 그리고 있습니다. 영화 '애니 기븐 선데이(Any Given Sunday, 1999)'에서는 미식 축구팀 내부의 갈등과 이들의 도전을 다룬 작품입니다.

 

오늘 영화 제리 맥과이어는 스포츠 에이전트의 세계를 배경으로 사회생활, 인간관계와 사랑, 그리고 자기 발견에 대한 내용입니다.

 

1. 영화 제리 맥과이어

제리 맥과이어(Jerry Maguire) 1996년에 개봉한 스포츠 코미디 드라마 영화로, 카메론 크로우(Cameron Crowe)가 감독과 각본을 맡았습니다. 주요 출연진은 다음과 같습니다.

 

반응형
  • 톰 크루즈: 제리 맥과이어 역
  • 쿠바 구딩 주니어: 로드 티드웰 역
  • 르네 젤위거: 도로시 보이드 역
  • 켈리 프레스턴: 에이버리 비숍 역
  • 제리 오코넬: 프랭크 쿠쉬먼 역
  • 제이 모어: 밥 슈거 역
  • 보니 헌트: 로렐 보이드 역
  • 레지나 킹: 마르시 티드웰 역

영화의 줄거리

제리 맥과이어는 성공한 스포츠 에이전트, 최고의 고객들과 존경을 받으며 아름다운 약혼자까지 가진 인물입니다그러나 총각파티에서 크게 취한 그는 자신의 직업과 삶에 대해 회의를 가지게 되고, 스포츠 관리(Agent) 비즈니스의 개선점에 대해 논하고, 그 부정직함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담은 미션 스테이트먼트를 작성합니다.  

 

이로 인해 회사에서 해고된 제리는 자신의 고객들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합니다. 결국, 그는 단 한 명의 고객인 로드 티드웰과 함께 독립적인 에이전트로서의 길을 걷게 됩니다그러나, 로드는 그 자신의 계약 연장에 불만을 품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제리는 그의 신뢰를 얻기 위해 노력합니다. 

 

제리는 도로시 보이드와 함께 새로운 회사를 시작하고, 둘은 점점 가까워지며 로맨틱한 관계로 발전합니다. 그러나 경제적 어려움과 로드의 까다로운 성격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제리는 로드에게 진심으로 그를 도와달라는 말을 하게 되며, 결국 로드는 그 자신의 가치와 실력을 증명하기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   

 

결국, 로드는 중요한 경기에서 승리하며 큰 부상을 입지만, 다시 일어나 관중들의 환호를 받습니다. 이로 인해 제리와 로드의 관계는 단순한 비즈니스 관계를 넘어선 깊은 우정으로 발전합니다제리는 도로시에게 달리고 달려서 집으로 돌아가 사랑을 고백하게 되며, 도로시는 "'그만해, 당신이 안녕이라고 말했을 때 이미 마음을 빼앗겼어요"라고 화답합니다.

   

이 영화는 스포츠 에이전트의 세계를 배경으로 한 감동적인 이야기로, 진정한 인간관계와 사랑, 그리고 자기 발견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2. 영화를 이끈 제리 맥과이어의 심리변화 

 

제리 맥과이어의 심리 변화는 영화의 핵심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의 여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자기 인식과 각성

제리는 성공한 스포츠 에이전트로서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자신의 직업과 삶에 대해 깊은 고민을 시작합니다. 그는 스포츠 관리 비즈니스의 부정직함에 대해 회의감을 느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션 스테이트먼트를 작성합니다.

  • 영어 대사: “Breakdown? No, breakthrough.”
  • 한국어 번역: “붕괴? 아니, 돌파구야.”

2. 결단과 행동

제리는 자신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미션 스테이트먼트를 발표하지만, 이는 그를 회사에서 해고당하게 만듭니다. 그는 자신의 고객들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결국 로드 티드웰과 함께 독립적인 에이전트로서의 길을 걷게 됩니다.

  • 영어 대사: “The key to this business is personal relationships.”
  • 한국어 번역: “이 사업의 핵심은 개인적인 관계야.”

3. 도전과 좌절

제리는 경제적 어려움과 로드의 까다로운 성격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는 로드에게 진심으로 도와달라는 말을 하며, 로드는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

  • 영어 대사: “Help me help you.”
  • 한국어 번역: “내가 널 도울 수 있게 도와줘.”

4. 성장과 성공

로드는 중요한 경기에서 승리하며 큰 부상을 입지만, 다시 일어나 관중들의 환호를 받습니다. 이로 인해 제리와 로드의 관계는 단순한 비즈니스 관계를 넘어선 깊은 우정으로 발전합니다. 제리는 도로시에게 돌아가 사랑을 고백하며, 도로시는 "당신이 '안녕이라고 말했을 때 이미 마음을 빼앗겼어요"라고 대답합니다.

  • 영어 대사: “You complete me.”
  • 한국어 번역: “당신은 나를 완성시켜줘요.”
  • 영어 대사: “You had me at ‘hello’.”
  • 한국어 번역: “당신이 '안녕이라고 말했을 때 마음을 빼앗겼어요.”

5. 자기 발견과 행복

제리는 자신의 신념을 지키고, 진정한 인간관계와 사랑을 통해 행복을 찾게 됩니다. 그는 자신의 직업과 삶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가지게 되며, 도로시와 함께 새로운 시작을 합니다.

  • 영어 대사: “Show me the money!”
  • 한국어 번역: “돈을 보여줘!”

이 영화는 제리의 심리적 변화와 성장을 통해 진정한 성공과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만듭니다

 

 

3. 그외 등장인물들의 성공을 향한 심리 

 

제리 맥과이어 외에도 영화에는 각자의 성공을 꿈꾸는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합니다. 주요 인물들의 심리 변화와 관련된 대사를 살펴보겠습니다.

 

1. 로드 티드웰 (Rod Tidwell)

로드는 재능 있는 미식축구 선수지만, 그의 까다로운 성격과 큰 자존심 때문에 인기가 없습니다. 그는 경제적 안정과 가족을 위한 성공을 원하며, 제리와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려 합니다.

  • 심리 변화: 로드는 처음에는 돈과 명성을 원하지만, 제리와의 관계를 통해 진정한 성공이 무엇인지 깨닫게 됩니다.
  • 영어 대사: “Show me the money!”
  • 한국어 번역: “돈을 보여줘!”
  • 영어 대사: “You are hanging on by a very thin thread and I dig that about you!”
  • 한국어 번역: “너는 아주 가느다란 실에 매달려 있어, 그리고 난 그게 좋아!”

2. 도로시 보이드 (Dorothy Boyd)

도로시는 제리의 비서로, 그의 미션 스테이트먼트에 감동받아 그와 함께 새로운 회사를 시작합니다. 그녀는 사랑과 안정된 가정을 원하며, 제리와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꿈을 이루려 합니다.

  • 심리 변화: 도로시는 제리와의 관계에서 진정한 사랑과 행복을 찾으려 노력합니다.
  • 영어 대사: “You had me at ‘hello’.”
  • 한국어 번역: “당신이 '안녕이라고 말했을 때 이미 마음을 빼앗겼어요.”
  • 영어 대사: “I just want to be inspired.”
  • 한국어 번역: “난 그저 영감을 받고 싶어요.”

3. 에이버리 비숍 (Avery Bishop)

에이버리는 제리의 약혼자로, 성공과 야망을 중요시하는 인물입니다. 그녀는 제리의 변화에 실망하고 결국 그와 헤어지게 됩니다.

  • 심리 변화: 에이버리는 제리의 이상주의와 맞지 않음을 깨닫고, 자신의 길을 선택합니다.
  • 영어 대사: “There is no real loyalty, and the first person who taught me that was you.”
  • 한국어 번역: “진정한 충성심은 없어, 그리고 그걸 처음 가르쳐준 사람은 바로 너였어.”

4. 마르시 티드웰 (Marcee Tidwell)

마르시는 로드의 아내로, 가족의 안정과 행복을 위해 헌신적인 인물입니다. 그녀는 로드의 성공을 위해 그를 지지하고 격려합니다.

  • 심리 변화: 마르시는 로드의 성공을 위해 헌신하며, 그의 곁에서 항상 힘이 되어줍니다.
  • 영어 대사: “I love him! I love him for the man he wants to be. And I love him for the man he almost is.”
  • 한국어 번역: “난 그를 사랑해! 그가 되고자 하는 남자를 사랑하고, 그가 거의 되어가는 남자를 사랑해.”

5. 디키 폭스 (Dicky Fox)

디키는 제리의 멘토로, 영화 내내 제리에게 중요한 조언을 해주는 인물입니다. 그는 개인적인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심리 변화: 디키는 제리에게 진정한 성공은 인간관계에서 온다는 것을 가르칩니다.
  • 영어 대사: “The key to this business is personal relationships.”
  • 한국어 번역: “이 사업의 핵심은 개인적인 관계야.”

이 인물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성공을 추구하며, 제리와의 관계를 통해 성장하고 변화합니다. 이들의 이야기는 영화의 감동적인 메시지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줍니다

 

 

4. 사회 생활, 회사 생활에 필요한 교훈들 

제리 맥과이어는 사회생활에서 중요한 법칙을 여러 가지로 전달합니다.

 

첫째진정성이 사회생활, 회사생활, 직장생활의 중요한 법칙임을 강조합니다. 제리는 자신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미션 스테이트먼트를 작성하고, 이를 통해 진정한 성공은 단순한 물질적 성취가 아니라 진실된 인간관계에서 온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는 사회생활에서도 진정한 관계를 맺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줍니다.

 

둘째용기와 결단력 또한 사회생활, 회사생활, 직장생활의  필수적인 법칙임을 보여줍니다. 제리는 자신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안정된 직장을 떠나고, 새로운 도전을 시작합니다. 이는 사회생활에서 때로는 위험을 감수하고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용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셋째협력과 팀워크의 역시 사회생활, 회사생활, 직장생활의  중요한 법칙임을 강조합니다. 제리와 로드의 관계는 단순한 비즈니스 관계를 넘어선 깊은 우정으로 발전하며, 서로를 지지하고 격려하는 모습은 사회생활에서도 협력과 팀워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넷째자기 발견과 성장의 법칙을 그 과정을 통해 보여줍니다. 제리는 자신의 직업과 삶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이를 통해 진정한 자신을 발견하며 성장합니다. 이는 사회생활에서도 끊임없이 자신을 돌아보고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사랑과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제리와 도로시의 관계는 진정한 사랑과 헌신을 보여주며, 이는 사회생활에서도 인간관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줍니다. 이 영화는 진정한 성공과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만들며, 사회생활에서 중요한 가치를 다시 한 번 되새기게 합니다.

반응형

스나이퍼가 전쟁에서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회사나 사회에서도 좋은 의미의 스나이퍼들이 많이 있습니다. 어려운 시기에 단비와 같은 존재 또는 단비를 내리는 능력을 가진 레인메이커(rainmaker)와 같은 세일즈, 마케팅, 기획, 개발자 등의 사람들입니다. 또한, 번뜩이는 사업에 대한 인사이트를 가지고, 회사를 성공으로 지속적으로 이끌어가는 경영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들은 전쟁이 아닌, 전쟁과 같은 사회에서 스나이퍼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전에 소개드린, 영화 '아메리칸 스나이퍼(American Sniper, 2015)'에서는 진정한 군인정신에 대한 메시지를 스나이퍼를 통해 전달해 주기도 합니다.

 

영화 스나이퍼 고스트 슈터에서는 스나이퍼의 역량과 보안, 팀워크에 대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1. 영화 스나이퍼 고스트 슈터

영화 스나이퍼 고스트 슈터(Sniper: Ghost Shooter)는 스나이퍼 레거시(2014), 유치원에 간 사나이2(2016) 등을 감독했던 돈 마이클 폴(Don Michael Paul)이 감독한 2016년 액션 스릴러 영화입니다.  

 

주요 출연진

  • 채드 마이클 콜린스(Chad Michael Collins): 브랜든 베켓(Brandon Beckett) 
  • 빌리 제인(Billy Zane): 리처드 밀러(Richard Miller) 
  • 데니스 헤이스버트(Dennis Haysbert): 대령 역
  • 닉 고메즈(Nick Gomez): 세르반테스(Cervantes) 
  • 라빌 이시야노프(Ravil Isyanov): 안드레이 마슈코프(Andrei Mashkov) 
  • 스테파니 보그트(Stephanie Vogt): 로빈 슬레이터(Robin Slater) 
  • 프레실리아나 에스파롤리니(Presciliana Esparolini): 지나 아웅스트(Gina Aungst) 
  • 나비드 네가반(Navid Negahban): 마더셰드(Mothershed) 
  • 벨리슬라프 파블로프(Velislav Pavlov): 라브샨 가자코프(Ravshan Gazakov)  

영화의 줄거리

영화는 브랜든 베켓과 리처드 밀러가 테러리스트로부터 조지아의 가스 파이프라인을 보호하는 임무를 맡으면서 시작됩니다그러나, 초기 임무에서 베켓은 순수하고 약한 어린아이를 목표로 삼아야 하는 상황때문에, 임무를 망설이다가 팀의 위치가 노출되고, 결국 임무는 실패로 끝납니다.       

 

반응형

 

베켓은 팀의 위치가 적에게 노출된 것이 내부의 보안 침해 때문이라고 의심합니다. 그러나 그의 상관들은 이를 믿지 않습니다베켓은 결국 조지아 군대의 콜로넬 바바예프와의 은밀한 협력을 통해 보안 침해에 대한 원인을 찾으려 합니다.   

 

베켓은 마더셰드라는 인물을 통해 가자코프와 접촉하게 됩니다가자코프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부의 도움을 받고 있음을 부인합니다. 그러나, 베켓은 적군이 고성능 컴퓨터와 위성을 통한 연결을 바탕으로 군사 정보를 알아내고 있음을 확인해 냅니다.

 

베켓은 자신의 이론을 상관들에게 설명하고, 결국 그의 주장이 맞다는 것이 입증됩니다. 마지막 전투에서 베켓과 그의 팀은 적의 공격을 막아내고, 가자코프를 처단합니다베켓은 마침내 자신의 직감과 논리를 믿고 강력하게 추진한 덕분에 임무를 무사히 그리고 성공적으로 달성합니다.   

 

이 영화는 전쟁과 보안 침해, 그리고 팀워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주인공 베켓의 성장과 결단력을 보여줍니다.

 

 

2. 스나이퍼가 갖추어야 할 역량 

전쟁에서 스나이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역량을 갖추어야 합니다. 다음은 스나이퍼가 갖추어야 할 주요 역량입니다.

 

1. 정확한 사격 능력

  • 설명: 스나이퍼는 먼 거리에서 목표물을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고도의 사격 기술과 정확한 조준 능력을 요구합니다.
  • 훈련: 정기적인 사격 훈련과 다양한 환경에서의 실전 연습이 필요합니다.

2. 관찰 및 정찰 능력

  • 설명: 스나이퍼는 적의 움직임을 감시하고, 중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뛰어난 관찰력과 정찰 능력을 필요로 합니다.
  • 훈련: 고성능 망원경과 정찰 장비를 사용한 훈련이 필요합니다.

3. 위장 및 은폐 기술

  • 설명: 스나이퍼는 적에게 발각되지 않도록 자신을 위장하고 은폐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생존과 임무 성공에 필수적입니다.
  • 훈련: 다양한 환경에서의 위장 및 은폐 훈련이 필요합니다.

4. 인내심과 집중력

  • 설명: 스나이퍼는 오랜 시간 동안 한 자리에 머물며 목표를 기다려야 할 때가 많습니다. 이는 높은 인내심과 집중력을 요구합니다.
  • 훈련: 정신적 훈련과 명상, 집중력 향상 훈련이 도움이 됩니다.

5. 전술적 사고와 의사결정 능력

  • 설명: 스나이퍼는 전술적 상황을 빠르게 판단하고, 적절한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이는 전술적 사고와 신속한 의사결정 능력을 필요로 합니다.
  • 훈련: 전술 시뮬레이션과 다양한 전투 시나리오 훈련이 필요합니다.

6. 팀워크와 의사소통 능력

  • 설명: 스나이퍼는 팀의 일원으로서 다른 팀원들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협력해야 합니다. 이는 팀워크와 의사소통 능력을 요구합니다.
  • 훈련: 팀 훈련과 의사소통 기술 향상 훈련이 필요합니다.

7. 체력과 스태미나

  • 설명: 스나이퍼는 종종 험난한 지형에서 오랜 시간 동안 작전을 수행해야 합니다. 이는 높은 체력과 스태미나를 필요로 합니다.
  • 훈련: 규칙적인 체력 훈련과 지구력 향상 훈련이 필요합니다.

8. 심리적 안정성

  • 설명: 스나이퍼는 고도의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침착함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심리적 안정성을 요구합니다.
  • 훈련: 스트레스 관리 기술과 심리적 훈련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역량들은 스나이퍼가 전장에서 효과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고, 생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스나이퍼는 단순한 사격 기술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술적, 심리적, 신체적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3. 전쟁의 참상에 대한 다양한 감정과 심리 

고스트 스나이퍼(Sniper: Ghost Shooter)에서 등장인물들은 전쟁의 참상에 대해 다양한 감정과 심리를 드러냅니다. 주요 대사들을 통해 그들의 감정과 심리를 정리합니다.

 

브랜든 베켓 (Brandon Beckett)

  • 영어: “I can’t believe we’re doing this again. It’s like we’re just pawns in their game.”
  • 한국어: “우리가 또 이걸 하고 있다니 믿을 수 없어. 마치 그들의 게임에서 우리는 그냥 졸에 불과해.”
  • 감정과 심리: 브랜든은 자신을 비롯한 동료들이 그저 윗선의 명령에 의해 움직이는 졸에 불과하다는 생각과, 이러한 전쟁의 반복성과 무의미함에 대해 회의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리처드 밀러 (Richard Miller)

  • 영어: “We do what we have to do. It’s not about glory, it’s about survival.”
  • 한국어: “우리는 해야 할 일을 한다. 이건 영광이 아니라 생존에 관한 거야.”
  • 감정과 심리: 리처드는 전쟁에서의 참혹함 속에서도 생존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냉철하게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영광보다는 생존을 위한 현실적인 접근을 강조합니다

세르반테스 (Cervantes)

  • 영어: “Every time I pull the trigger, I think about the lives I’m ending. It’s a heavy burden.”
  • 한국어: “방아쇠를 당길 때마다 내가 끝내는 생명들을 생각해. 이건 무거운 짐이야.”
  • 감정과 심리: 세르반테스는 전쟁에서 사람을 죽이는 것에 대한 자신의 행동에 대한 결과에 대해서 고민하고 또한 무거운 죄책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안드레이 마슈코프 (Andrei Mashkov)

  • 영어: “War is a game of chess, and we’re all just pieces on the board.”
  • 한국어: “전쟁은 체스 게임이고, 우리는 모두 그 판 위의 말일 뿐이야.”
  • 감정과 심리: 안드레이는 전쟁을 체스 게임에 비유하며, 자신과 동료들이 상부의 전략에 따라 움직이는 말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전쟁의 비인간성과 무의미함에 대한 냉소적인 시각을 반영합니다.

로빈 슬레이터 (Robin Slater)

  • 영어: “I joined to make a difference, but all I see is destruction and death.”
  • 한국어: “나는 변화를 만들기 위해 입대했지만, 내가 보는 건 파괴와 죽음뿐이야.”
  • 감정과 심리: 로빈은 전쟁에 대한 이상과 현실의 괴리감에 실망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전쟁의 참혹함과 무의미함에 대해 깊은 회의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처럼 고스트 스나이퍼의 등장인물들은 전쟁의 참상에 대해 다양한 감정과 심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전쟁의 무의미함, 죄책감, 생존의 중요성, 그리고 이상과 현실의 괴리감 등을 경험하며, 각자의 방식으로 전쟁을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4. 전쟁의 참혹함과 복잡한 인간감정 

고스트 스나이퍼는 전쟁의 참혹함과 그 속에서의 인간의 복잡한 감정을 탐구하는 영화입니다. 영화는 전쟁의 무의미함과 그로 인한 고통을 강조하며, 전쟁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을 보여줍니다.

 

전쟁의 무의미함

영화는 주인공 브랜든 베켓을 통해 전쟁의 반복성과 무의미함을 드러냅니다. 베켓은 자신과 동료들이 상부의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졸에 불과하다는 생각에 좌절감을 느낍니다. 이는 전쟁이 단순히 권력자들의 게임일 뿐이라는 냉소적인 시각을 반영합니다.

 

생존의 중요성

리처드 밀러는 전쟁에서의 생존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영광보다는 생존을 위한 현실적인 접근을 강조합니다. 이는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도 냉철하게 임무를 수행하려는 그의 태도를 보여줍니다. 생존은 전쟁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임을 강조합니다.

 

죄책감과 심리적 부담

세르반테스는 전쟁에서 사람을 죽이는 것에 대한 무거운 죄책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행동이 가져오는 결과에 대해 깊이 고민하며, 심리적으로 큰 부담을 안고 있습니다. 이는 전쟁이 인간에게 미치는 심리적 고통을 잘 보여줍니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감

로빈 슬레이터는 전쟁에 대한 이상과 현실의 괴리감에 실망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변화를 만들기 위해 입대했지만, 전쟁의 참혹함과 무의미함에 대해 깊은 회의감을 느낍니다. 이는 전쟁이 개인의 이상을 어떻게 무너뜨리는지를 보여줍니다.

 

고스트 스나이퍼는 전쟁의 참혹함과 그로 인한 인간의 복잡한 감정을 통해, 전쟁의 무의미함과 파괴적인 영향을 강조합니다. 영화는 전쟁 속에서의 생존, 죄책감, 이상과 현실의 괴리감을 통해, 전쟁이 인간에게 미치는 심리적, 사회적 영향을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이를 통해 관객들에게 전쟁의 진정한 의미와 그로 인한 고통을 성찰하게 합니다.

반응형

개인의 신념에 대한 영화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전에 소개한, 영화 ’1941: 세바스토폴 상륙작전 (Battle for Sevastopol, 2015)’에서는 영웅의 신념을 기반한 헌신과 그 힘에 대해서 그리고 있습니다. 영화 어른 김장하에서는 이 사회의 진정한 어른으로 역할하면서도 그러한 선행에 대해서 알리지 않는다는 신념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영화 블라인드 사이드 (The Blind Side, 2009)’에서는 주인공을 돕겠다는 산드라 블록(리 앤 투이 역)을 신념을 바탕으로 가족 사랑을 일깨우기도 합니다.

 

영화 핵소 고지에서는 총을 들지 않고 사람들의 생명을 구하고 국가에 기여할 수 있다는 주인공의 신념을 기반한 감동을 주는 영화입니다. 관객수는 미국 약 1,200만 명, 한국 약 200만 명 등, 전 세계적으로 약 3억 5천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리며, 많은 관객들에게 감동을 주었습니다. 각국에서의 반응은 긍정적이었으며, 특히 도스의 신념과 용기를 강조한 점이 많은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1. 영화 핵소 고지

영화 핵소 고지(Hacksaw Ridge) 2016년에 개봉한 전쟁 영화로멜 깁슨이 감독을 맡았습니다. 이 영화는 제2차 세계대전 중 비폭력주의자인 데스몬드 T. 도스의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도스는 총을 들지 않고도 75명의 부상자를 구한 의무병으로, 그의 이야기는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었습니다.

 

감독 및 출연진

  • 감독: 멜 깁슨
  • 주요 출연진
    • 앤드류 가필드 - 데스몬드 T. 도스
    • 샘 워싱턴 - 캡틴 글로버
    • 빈스 본 - 하웰 병장
    • 휴고 위빙 - 톰 도스 (데스몬드의 아버지)
    • 테리사 파머 - 도로시 슈트 (데스몬드의 사랑)
    • 레이첼 그리피스 - 버사 도스 (데스몬드의 어머니)
 

 

시상내역

핵소 고지는 여러 영화제에서 호평을 받았으며, 89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편집상 음향 믹싱상을 수상했습니다. 또한, 70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BAFTA)  37 런던 비평가 협회상에서도 각각 편집상 영국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고, 기타 여러 시상식에서도 적지 않게 노미네이트되었습니다.

 

영화의 줄거리

영화는 데스몬드 도스의 어린 시절부터 시작됩니다. 그는 종교적 신념으로 인해 폭력을 거부하며 자라났고, 아버지의 전쟁 후유증으로 인한 폭력적인 행동을 목격하며 비폭력주의자가 되었습니다.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그는 의무병으로 군에 자원입대하지만 총기 훈련을 거부합니다. 동료 병사들과 상관의 조롱과 압박 속에서도 자신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싸웁니다.

 

훈련소에서의 고난을 겪은 후, 그는 오키나와 전투에 배치됩니다. 전투 중 도스는 총을 들지 않고도 부상자들을 구하기 위해 전장에 뛰어듭니다. 그는 총알이 빗발치는 상황에서도 75명의 동료를 구출하며, 그의 용기와 헌신은 동료들에게 깊은 존경을 받게 됩니다. 결국, 그는 미국 군 역사상 최초의 비무장 의무병으로 미 국방부에서 미국의회의 이름으로 수영하는 명예훈장을 받습니다.

 

영화는 도스의 신념과 용기를 통해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도 인간성을 잃지 않는 모습을 감동적으로 그려냅니다. 마지막 장면에서는 실제 도스의 인터뷰가 삽입되어, 그의 이야기가 단순한 영화가 아닌 실화임을 강조합니다

 

이 영화는 전쟁 영화의 전형적인 요소를 넘어서, 신념과 인내의 힘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많은 이들에게 감명을 주었습니다

 

 

2. 주인공의 심리 단계 정리 

1. 초기 트라우마와 비폭력 신념

  • 데스몬드 도스는 어린 시절 아버지의 전쟁 후유증과 가정폭력의 목격으로 인해 깊은 트라우마를 겪습니다. 이 경험은 그가 폭력을 거부하는 비폭력주의자로 성장하는 계기가 됩니다. 그는 "살인은 큰 죄악이다"라는 종교적 신념을 내면화하며, 이는 그의 정체성과 행동의 기초가 됩니다.
    • 영어: "I can't kill. It's against my religion."
    • 한국어: "나는 죽일 수 없어. 내 종교에 어긋나."

 

2. 군 입대와 갈등

  • 군에 입대한 후, 도스는 동료들과 상관들로부터 조롱과 압박을 받습니다. 그는 자신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소총 훈련을 거부하며, 이는 그에게 심리적 고통을 안깁니다. 이 시점에서 그는 자신의 신념과 군대의 요구 사이에서 심각한 내적 갈등을 겪습니다.
    • 영어: "You’re not a soldier if you don’t carry a weapon."
    • 한국어: "무기를 들지 않으면 군인이 아니야."

3. 전투와 구출의 사명감

  • 오키나와 전투에서 도스는 자신의 신념을 실천할 기회를 얻습니다. 그는 무기 없이 부상자를 구하는 과정에서 극도의 스트레스와 두려움을 경험하지만, 동시에 자신의 신념이 실현되는 순간을 맞이합니다. "제발 한 명만 더 구하게 해주소서"라는 기도는 그의 사명감을 잘 보여줍니다.
    • 영어: "Please, Lord, help me get one more." 
    • 한국어: "제발, 주님, 한 명만 더 구하게 해주소서."
    • 영어: "While everybody else is taking life, I'm going to be saving it. That's going to be my way to serve."
    • 한국어: "모든 이들이 생명을 빼앗고 있을 때, 나는 생명을 구할 거야. 그게 내가 봉사하는 방법이야."

4. 신념의 확립과 영웅적 행동

  • 전투 중 도스는 75명의 생명을 구하며 자신의 신념을 완전히 확립합니다. 그는 "내가 집으로 꼭 가게 해줄게!"라는 말을 통해 동료들에게 희망을 주며, 자신의 행동이 단순한 생존을 넘어서는 의미를 지닌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 영어: "I’ll make sure you get home."
    • 한국어: "내가 너를 집으로 꼭 데려다줄게."  

5. 자기 수용과 평화

  •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도스는 자신의 신념을 통해 진정한 평화를 찾습니다. 그는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도 인간성을 잃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지킨 결과로서 영웅으로 인정받습니다.
    • 영어: "I’m proud of what I did."
    • 한국어: "내가 한 일이 자랑스러워."

이러한 심리적 단계를 통해 도스는 자신의 신념을 지키며 영웅으로 거듭나게 됩니다.

 

 

3. 주요 인물들의 심리 분석 및 대사

1. 하웰 중사 (빈스 본)

  • 심리: 하웰 중사는 처음에는 도스의 비폭력 신념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를 조롱합니다. 그러나 전투를 통해 도스의 용기와 헌신을 목격하면서 그의 신념을 존중하게 됩니다. 이는 그가 인간적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 영어: "You’re not a soldier if you don’t carry a weapon."
    • 한국어: "무기를 들지 않으면 군인이 아니야."

 

2. 톰 도스 (휴고 위빙)

  • 심리: 도스의 아버지는 제1차 세계대전에서의 경험으로 인해 전쟁에 대한 강한 감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아들에게 전쟁의 현실을 강하게 인식시키려 하며, 폭력적인 성향을 보입니다. 이는 그의 트라우마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 영어: "You don’t know what it’s like to be in a war."
    • 한국어: "전쟁이 어떤 건지 너는 몰라."

3. 도로시 슈트 (테레사 파머)

  • 심리: 도로시는 도스의 신념을 지지하며 그의 사랑과 헌신을 통해 그를 격려합니다. 그녀는 도스가 전쟁에 나가는 것을 걱정하지만, 그의 결단을 존중합니다. 이는 그녀의 사랑과 이해를 보여줍니다.
    • 영어: "I believe in you, Desmond."
    • 한국어: "나는 당신을 믿어요, 데스몬드."

4. 동료 병사들

  • 심리: 초기에는 도스의 신념을 조롱하고 그를 외면하지만, 전투 중 그의 용기를 목격한 후에는 그를 존경하게 됩니다. 이는 전투의 극한 상황에서 인간의 본성과 신념이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 영어: "You did it, man! You saved us!"
    • 한국어: "너 해냈어! 우리를 구했어!"

이러한 인물들은 각기 다른 심리적 갈등과 변화를 겪으며, 도스의 이야기를 통해 전쟁의 참혹함과 인간의 용기를 드러냅니다

 

 

4. 영화의 메시지 

영화 핵소 고지는 여러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 영화는 단순한 전쟁 영화가 아니라, 인간의 신념, 용기, 그리고 인내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공합니다.

 

1. 신념의 중요성

  • 영화는 데스몬드 도스가 자신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싸우는 과정을 통해, 개인의 신념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합니다. 그는 비폭력주의자로서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군대에서의 압박에도 굴하지 않고, 자신의 길을 선택합니다. 이는 "신념이 없다면 난 무얼 위해 살아가야 하지?"라는 질문으로 잘 드러납니다.

2. 인간성의 가치

  • 도스는 전투 중 적군과 아군을 구분하지 않고, 모든 생명을 소중히 여깁니다. 그는 "제발 한 명만 더 구하게 해주소서"라는 기도를 통해,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도 인간성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을 보여줍니다. 이는 전쟁의 비극 속에서도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3. 용기와 희생

  • 도스의 행동은 진정한 용기의 상징입니다. 그는 총을 들지 않고도 75명의 생명을 구하며, 자신의 목숨을 걸고 동료들을 구하는 모습은 희생의 진정한 의미를 보여줍니다. "내가 집으로 꼭 가게 해줄게"라는 대사는 그가 동료들에게 희망을 주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4. 갈등과 성장

  • 영화는 도스가 겪는 내적 갈등을 통해, 개인의 신념과 사회적 압박 사이의 갈등을 조명합니다. 그는 군대에서의 고난을 통해 성장하며, 결국 자신의 신념을 확립하게 됩니다. 이는 "나는 종교 때문에 고기를 먹지 않아"라는 대사로도 나타납니다.

5. 평화의 메시지

  • 마지막으로, 영화는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도 평화와 사랑의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도스는 전투 후에도 자신의 신념을 지키며, 사랑하는 사람과의 관계를 소중히 여깁니다. 이는 "나는 당신을 믿어요, 데스몬드"라는 도로시의 대사로 잘 표현됩니다.

이러한 메시지들은 관객에게 깊은 감동을 주며, 전쟁의 비극 속에서도 인간의 신념과 용기가 어떻게 빛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반응형

사람들은 누구나 때로는 행복하게 때로는 힘겨운 그러한 삶을 살아가면서, 또 그 안에서 끊임없이 성장을 합니다.

 

영화 '할머니가 죽기 전 백만장자가 되는 법 (How to Make Millions Before Grandma Dies, 2024)'에서의 주인공은 가족간 연대의 의미를 깨달으면서 자신도 성장을 합니다. 영화 '글래디에이터 (Gladiator, 2000)'에서는 리더에게 발생한 뜻밖의 고통스러운 상황과 환경을 극복하면서 연대와 성장을 꿈꿉니다. 영화 '북 오브 헨리 (The Book of Henry, 2017)'에서 헨리의 싱글망 수잔은 아들이 남긴 계획을 실행하면서 그녀 자신도 성장하고 또한 가족과 이웃과의 더 나은 삶을 위한 연대를 개척합니다.

 

영화 블리자드 오브 소울을 통해, 힘든 시절을 살아가면서 성장과 연대를 만들어가는 모습을 바라보고 잠시 생각에 잠깁니다.

 

1. 영화 블리자드 오브 소울

블리자드 오브 소울(Blizzard of Souls)은 진타르스 드레이베르크스(Dzintars Dreibergs)가 감독한 2019라트비아의 역사 드라마 영화입니다이 영화는 알렉산더스 그린스(Aleksandrs Grīns)의 동명인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출연진

  • 오토 브란테비츠(Oto Brantevics): 아르투르스 바낙스(Artūrs Vanags) 
  • 레이몬즈 셀름스(Raimonds Celms): 에드가르스 바낙스(Edgars Vanags) 
  • 마르틴스 빌손스(Mārtiņš Vilsons): 바낙스(Vanags) 
  • 예카브스 레이니스(Jēkabs Reinis): 미켈손스(Miķelsons) 
  • 가티스 가가(Gatis Gāga): 콘라드(Konrāds) 
  • 레나르스 젤틴스(Renārs Zeltiņš): 스필바(Spilva) 
  • 빌리스 다우진스(Vilis Daudziņš): 살라(Sala) 
  • 그레타 트루시나(Greta Trusina): 마르타(Marta) 
  • 이바 플로렌스(Ieva Florence): 미르자(Mirdza) 
  • 레지야 칼니나(Rēzija Kalniņa): 어머니 역  

줄거리

영화는 1차 세계대전 중 라트비아 소년병 아르투르스 바낙스의 이야기를 다룹니다.

 

반응형

 

1915, 16세의 아르투르스는 독일군의 침략으로 어머니가 살해되는 것을 목격합니다이에 아버지와 아르투르스는 함께 라트비아 소총병 부대에 자원입대하여 함께 훈련하면서 복수를 다짐합니다.

 

아르투르스는 동부 전선에서 전투를 치르며 아버지와 형을 잃고, 전쟁의 참혹함에 점점 환멸을 느낍니다그는 볼셰비키 혁명에 합류하지만, 그의 친구를 총살을 통한 처형하라는 명령을 받고 어처구니 없음에 그들의 무자비함을 깨닫고 탈영합니다.

 

아르투르스는 새로 독립한 라트비아로 돌아와 독립 전쟁에 참여합니다그는 다시금 전쟁의 상처를 딛고 새롭게 삶을 시작합니다.

 

이 영화는 전쟁의 잔혹함과 그 속에서 성장하는 소년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강인함과 희망을 그려냅니다.

 

 

2. 전쟁에 대한 주인공의 심리적 변화 

블리자드 오브 소울의 주인공 아르투르스 바낙스는 전쟁을 통해 복잡한 심리적 변화를 겪습니다

 

전쟁 초기: 복수와 애국심

아르투르스는 어머니의 죽음과 독일군의 침략에 대한 복수심으로 전쟁에 자원합니다. 그는 애국심과 가족을 지키려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 영어: “I will fight for my country and for my family.”
  • 한국어: “나는 내 나라와 가족을 위해 싸울 것이다.”
  • 심리: 이 대사는 아르투르스의 초기 동기인 복수심과 애국심을 잘 보여줍니다  

전쟁 중: 환멸과 고통

전쟁의 참혹함을 직접 경험하면서 아르투르스는 점점 환멸을 느끼게 됩니다. 그는 전우들의 죽음과 전쟁의 비인간성을 목격하며 심리적으로 큰 고통을 겪습니다.

  • 영어: “War is nothing like I imagined. It’s hell.”
  • 한국어: “전쟁은 내가 상상했던 것과 전혀 달라. 지옥이야.”
  • 심리: 이 대사는 주인공인 아르투르스가 전쟁의 현실을 깨닫고 있으며, 그로 인해 겪는 그의 심리적 고통과 마음의 상처를 잘 나타냅니다.   

탈영과 회의

아르투르스는 볼셰비키에 합류하지만, 그들의 무자비함을 깨닫고 탈영합니다. 그는 전쟁의 의미에 대해 회의감을 느끼며, 자신의 선택에 대해 고민합니다.

  • 영어: “I can’t do this anymore. This isn’t what I signed up for.”
  • 한국어: “더 이상 이럴 수 없어. 내가 원했던 게 아니야.”
  • 심리: 아르투르스가 이러한 전쟁에 대한 강한 회의감과 그럼으로써 결심하게 되는 탈영심리 사이의 심리적 갈등을 보여줍니다.    

귀환과 재생

전쟁이 끝난 후, 아르투르스는 라트비아로 돌아와 독립 전쟁에 참여합니다. 그는 전쟁의 상처를 딛고 새로운 삶을 시작하려 노력합니다.

  • 영어: “We must rebuild our country. For those we lost.”
  • 한국어: “우리는 잃어버린 사람들을 위해 우리 나라를 재건해야 해.”
  • 심리: 이 대사는 아르투르스가 전쟁 후에도 희망을 잃지 않고, 재생과 회복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아르투르스의 태도와 심리는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도 인간의 강인함과 희망을 잃지 않는 모습을 잘 나타냅니다. 그의 여정은 전쟁의 비극과 그 속에서의 인간의 성장과 회복을 감동적으로 그려냅니다.

 

 

3. 전쟁의 참혹함과 영화의 메시지 

블리자드 오브 소울은 전쟁의 참혹함과 그 속에서 인간이 겪는 고통, 성장, 그리고 희망을 중심으로 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영화는 제1차 세계대전과 라트비아 독립 전쟁을 배경으로, 주인공 아르투르스의 여정을 통해 여러 가지 중요한 주제를 탐구합니다.

 

전쟁의 참혹함

영화는 전쟁의 잔혹함과 무의미함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아르투르스는 전쟁터에서 가족과 친구들을 잃고, 전쟁의 비인간성을 직접 경험합니다. 이는 전쟁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을 강조하며, 전쟁의 참혹함을 고발합니다.

 

성장과 성숙

아르투르스는 전쟁을 통해 소년에서 성인으로 성장합니다. 그는 전쟁의 공포와 상실을 겪으면서도, 그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성숙해집니다. 이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인간이 성장하고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희망과 재생

영화는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인간의 강인함을 강조합니다. 아르투르스는 전쟁 후에도 새로운 삶을 시작하려 노력하며, 이는 재생과 회복의 가능성을 상징합니다. 영화는 인간의 회복력과 희망을 통해,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삶을 이어갈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국가와 정체성

라트비아의 독립 전쟁을 배경으로, 영화는 국가의 정체성과 독립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아르투르스와 그의 동료들은 라트비아의 독립을 위해 싸우며, 이는 그들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형성합니다. 영화는 국가의 독립과 자주성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인간의 연대와 우정

전쟁 속에서도 아르투르스는 동료들과의 연대와 우정을 통해 위안을 얻습니다. 이는 인간이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서로를 지지하고 도울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영화는 인간의 연대와 우정이 어떻게 고통을 극복하고 희망을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강조합니다.

 

이 영화는 전쟁의 참혹함을 고발하면서도, 그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성장하고 희망을 찾는지를 감동적으로 그려냅니다. 이를 통해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과 성찰을 불러일으킵니다.

반응형

때때로 자연 속에서 자유와 평온함을 찾거나, 또는 자연과의 깊은 만남이나 교감 그리고 그러한 시간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찾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영화 노매드랜드 뿐 아니라, 이전에 소개했던 영화 '아름다운 것은 먼 곳에 있다 (Everything Beautiful Is Far Away, 2017)' 에서는 연결과 아름다움을 향한 사막 여정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또한, 영화 '트랙스(Tracks, 2013)'에서는 고독과 자기발견을 위한 사막 여정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오늘은 노마드(Nomad) 삶을 통해, 사람들의 심리와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자 합니다.

 

1. 영화 노매드랜드

영화 노매드랜드(Nomadland, 2021)는 클로이 자오(Chloé Zhao)가 감독하고 각본을 쓴 영화입니다주요한 출연배우로 프란시스 맥도먼드(Frances McDormand)와 데이비드 스트래선(David Strathairn)이 있으며, 실제 노마드인 린다 메이(Linda May), 스완키(Swankie), 밥 웰스(Bob Wells) 등이 출연합니다.    

 

주요 수상 내역

영화의 줄거리

영화는 2011, 네바다 주 엠파이어에 있는 US 석고 공장이 폐쇄되면서 시작됩니다주인공 펀(프란시스 맥도먼드)은 남편도 직장도 잃게 되자, 그녀가 가진 대부분의 소지품을 맡기고, 밴을 구입하여 미국 서부를 여행하며 노마드로서의 삶을 시작합니다.   

 

반응형

 

펀은 겨울 동안 아마존 물류센터에서 계절직으로 일하며 생계를 이어갑니다그녀는 동료 린다의 초대로 애리조나 사막(Arizona Des.)에서 열리는 노마드(Nomad) 모임에 참석하게 됩니다. 또한, 그곳에서 밥 웰스가 주최하는 커뮤니티를 통해 그녀는 이곳에서 생존 기술을 배우고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게 됩니다. 

 

여행 중 펀은 스완키라는 노마드를 만나게 되고, 그녀의 도움으로 도로에서의 생존 기술을 익히며 친해집니다그러던중, 스완키는 암 진단을 받게 되는데, 그는 남은 시간을 병원에서 보내기보다는 그 자신을 위해 좋은 추억을 만들며 보내기로 결심합니다. 

 

펀은 이후 여러 계절직을 전전하며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때로는 가족과 재회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결국 그녀는 다시 길 위로 돌아가기로 결심합니다영화는 펀이 마지막으로 남편과 함께 살았던 집을 다시 방문한 후, 곧이어 다시 길을 떠나는 장면으로 이어집니다.

 

이 영화는 현대 사회에서의 노마드 생활을 진솔하게 그려내며,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인간의 존엄성과 연대감을 잃지 않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2. 노매드(Nomad)의 삶을 사는 사람들의 심리 

 

노매드랜드는 현대 사회에서 노매드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심리를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영화 속 대사들을 통해 그들의 생각과 감정을 엿볼 수 있습니다

 

주요 대사와 심리

  1. Bob Wells
    o 영어: “One of the things I love most about this life is that there’s no final goodbye. You know, I’ve met hundreds of people out here and I don’t ever say a final goodbye. I always just say, ‘I’ll see you down the road.’ And I do.”
    o 한국어: “이 삶에서 가장 좋은 점 중 하나는 마지막 인사가 없다는 거예요. 여기서 수백 명의 사람들을 만났지만, 마지막 인사를 하지 않아요. 항상 '길에서 다시 만나요’라고 말해요. 그리고 정말로 다시 만나요.”
    o 심리: 노매드들은 영구적인 이별이 없다는 점에서 위안을 찾습니다. 

  2. Fern
    o 영어: “No, I’m not homeless. I’m just house-less. Not the same thing, right?”
    o 한국어: “아니요, 저는 노숙자가 아니에요. 저는 집이 없을 뿐이에요. 같은 게 아니죠?”
    o 심리: 펀은 자신을 노숙자가 아닌 집이 없는 사람으로 정의하며, 자신의 선택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입니다. 

  3. Swankie
    o 영어: “I’m gonna be 75 this year. I think I’ve lived a pretty good life. I’ve seen some really neat things kayaking all of those places. And… You know, like a moose in the wild. A moose family on the river in Idaho and big white pelicans landed just six feet over my kayak on a lake in Colorado.”
    o 한국어: “올해 75살이 돼요. 나는 꽤 좋은 삶을 살았다고 생각해요. 카약을 타고 다니면서 정말 멋진 것들을 봤어요. 예를 들어, 야생에서 무스를 본 적이 있어요. 아이다호 강에서 무스 가족을 봤고, 콜로라도 호수에서는 큰 흰 펠리컨이 내 카약 바로 위에 착륙했어요.”
    o 심리: 스완키는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회상하며,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찾습니다. 

  4. Linda
    o 영어: “Before I moved into this squeeze inn, I was out looking for work and putting in applications. 2008, and it was just tough. I got to a really really low point. And I thought about suicide. And I decided I was gonna go buy a bottle of booze, turn on the propane stove, and I was gonna drink that booze until I’m passed out. And if I woke up, I was gonna light a cigarette and I was gonna blow us all up.”
    o 한국어: “이 스퀴즈 인에 들어오기 전에, 나는 일을 찾고 지원서를 넣고 있었어요. 2008년이었고, 정말 힘들었어요. 정말 낮은 지점에 도달했어요. 자살을 생각했어요. 그래서 술 한 병을 사서 프로판 스토브를 켜고, 술을 마시고 기절할 때까지 마시기로 했어요. 그리고 만약 깨어나면 담배를 피우고 우리 모두를 폭파시키려고 했어요.”
    o 심리: 린다는 경제적 어려움과 절망 속에서 자살을 생각했지만, 결국 자신과 사랑하는 반려동물을 위해 삶을 이어가기로 결심합니다.

이 대사들은 노매드들이 겪는 다양한 감정과 심리를 잘 보여줍니다. 그들은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고립 속에서도 자연과의 교감, 커뮤니티의 연대감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찾고 있습니다.

 

 

3. 노마드(Nomad) 사람들의 자연과 연결된 삶 

 

노매드랜드는 노마드들이 자연과 깊이 연결된 삶을 살아가는 모습을 잘 보여줍니다. 영화 속 대사들을 통해 그들이 자연과 어떻게 하나가 되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주요 대사와 자연과의 연결

  1. Swankie
    o 영어: “I’ve seen some really neat things kayaking all of those places. And… You know, like a moose in the wild. A moose family on the river in Idaho and big white pelicans landed just six feet over my kayak on a lake in Colorado.”
    o 한국어: “카약을 타고 다니면서 정말 멋진 것들을 봤어요. 예를 들어, 야생에서 무스를 본 적이 있어요. 아이다호 강에서 무스 가족을 봤고, 콜로라도 호수에서는 큰 흰 펠리컨이 내 카약 바로 위에 착륙했어요.”
    o 자연과의 연결: 스완키는 자연 속에서의 경험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찾습니다. 
  2. Fern
    o 영어: “Rocks!”
    o 한국어: “돌!”
    o 자연과의 연결: 펀은 그저 하찮아 보이는 돌이나 바위조차도 소중하며, 자연 속에서 이러한 작은 것들에 대한 경이로움과 아름다움을 가집니다.   

  3. Bob Wells
    o 영어: “I think connecting to nature, and to a real true community, and tribe, will make all the difference for you.”
    o 한국어: “자연과 진정한 커뮤니티, 부족과 연결되는 것이 당신에게 큰 변화를 가져다줄 거라고 생각해요.”
    o 자연과의 연결: 밥 웰스는 자연과의 연결이 노마드들에게 중요한 이유를 설명합니다. 

 

 

4. 자연과 하나되는 삶

노마드들은 자연 속에서 자유와 평온함을 찾으며, 그들과 자연은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형성합니다. 그들은 자연의 일부로서 살아가며,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삶의 의미를 재발견합니다. 이러한 삶은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고립 속에서도 그들에게 큰 위안과 만족을 줍니다.

 

노매드랜드는 현대 사회에서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고립을 겪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연대감을 강조합니다. 영화는 주인공 펀을 중심으로, 집을 잃고 노마드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을 진솔하게 그려냅니다. 이들은 자연 속에서 자유와 평온함을 찾으며, 서로를 통해 위안을 얻습니다.

 

영화는 물질적 풍요보다 인간관계와 자연과의 교감이 더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또한, 삶의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과 용기를 잃지 않고 살아가는 노마드들의 강인함을 보여줍니다.

반응형

세상일에 힘들고 지칠때가 있습니다. 그럴때 잠시나마 이런저런 걱정거리를 잊고 입가에 미소를 띄울수 있게 하는 것 중의 하나가 코미디(영화, 연극 등)입니다. 요리와 개인의 꿈과 관련된 영화 줄리&줄리아(Julie & Julia, 2009)글도 있습니다. 

 

1. 영화 라스트 홀리데이

영화 '라스트 홀리데이(Last Holiday)' 2006년에 개봉한 코미디 영화로, 웨인 왕(Wayne Wang) 감독이 연출을 맡았습니다. 주요 출연진은 다음과 같습니다:

  • 퀸 라티파: 조지아 버드 역
  • LL  J: 숀 매튜스 역
  • 티모시 허튼: 매튜 크레이건 역
  • 알리시아 위트: 미즈 번즈 역
  • 지안카를로 에스포지토: 달링스 의원 역
  • 제라르 드파르디유: 셰프 디디에 역

영화의 줄거기

조지아 버드(퀸 라티파)는 백화점에서 주방 용품 판매원으로 일하며 평범한 삶을 살고 있습니다그러한 삶을 사는 가운데, 그녀는 동료인 숀 매튜스(LL  J)를 짝사랑하고 있지만, 데이트 신청도 한 번 제대로 해보지 못한 상태입니다.  

어느 날, 조지아는 직장에서 가벼운 상해를 입고 병원에서 정밀 검사를 받게 됩니다. 검사 결과, 그녀는 뇌종양 진단을 받고 시한부 선고를 받습니다이에 조지아는 그녀의 직장을 바로 그만두고 퇴직연금 전액을 현금으로 바꾸어, 그녀가 그동안 그토록 꿈꿔왔던 일들을 경험하기 위해, 체코의 카를로비 바리에 위치한 그랜드 퍼프 호텔(Grand Hotel Pupp)로 여행을 떠납니다.

반응형

 

호텔에 도착한 조지아는 돈을 아끼지 않고 스위트룸에 머물며 각종 스파와 익스트림 스포츠를 즐깁니다그녀의 이러한 거침없는 말과 행동 그리고 무한히 발산하는 듯한 긍정적인 에너지는 주변 사람들의 관심을 끌게 되며, 호텔 사람들은 그녀를 엄청난 재력가로 오인하게 됩니다. 

 

조지아의 전 직장 사장인 매튜 크레이건(티모시 허튼)은 호텔에서 조지아의 정체를 알아내기 위해 직원들을 매수합니다. 결국 조지아가 자신의 백화점 직원이었다는 사실을 알아내지만, 조지아의 솔직한 고백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입니다매튜는 마침내 술에 취해 호텔 난간에 올라가 앉아 자살 소동을 벌이지만, 그의 옆으로 다가와 함께 자리한 조지아의 진심 어린 위로를 받습니다.     

한편, 조지아를 찾기 위해 호텔에 도착한 숀은 그녀에게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고, 조지아의 주치의로부터 시한부 판정이 오진이었다는 소식을 듣게 됩니다영화는 드디어 조지아와 숀이 결혼하고, 그녀가 그토록 꿈꿔왔던 음식점을 열게 되는 행복한 모습으로 마무리 됩니다.

이 영화는 삶의 소중함과 매 순간을 즐기는 것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따뜻한 이야기입니다.

 

 

2. 등장인물들을 통해 보는 사람들의 당양한 성격과 심리 

영화 라스트 홀리데이의 주요 인물들의 성격과 심리를, 영화 속에서 인상 깊은 대사들을 함께 정리합니다.

 

조지아 버드 (Georgia Byrd)

성격: 조지아는 따뜻하고 친절한 성격의 소유자입니다. 평범한 백화점 직원으로 성실하게 일하며, 요리를 사랑하고 이웃과 나누는 것을 즐깁니다. 시한부 선고를 받은 후, 그녀는 더 이상 두려움 없이 삶을 즐기기로 결심합니다.

심리: 시한부 선고를 받은 후, 조지아는 처음에는 충격을 받지만, 곧 자신의 남은 시간을 최대한 즐기기로 마음먹습니다. 그녀의 긍정적인 태도와 용기는 주변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

대사:

  • “Next time… we will laugh more, we’ll love more; we just won’t be so afraid.”
  • 다음 생에는 더 많이 웃고, 더 많이 사랑하고, 두려워하지 않을 거야.”

숀 매튜스 (Sean Matthews)

성격: 숀은 조지아의 동료로, 친절하고 상냥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조지아를 짝사랑하지만, 그녀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심리: 조지아가 사라진 후, 숀은 그녀를 찾기 위해 용기를 내어 여행을 떠납니다. 그의 진심 어린 마음은 조지아에게 큰 위로가 됩니다.

대사:

  • “I came all this way to tell you that I love you.”
  • 널 사랑한다고 말하기 위해 여기까지 왔어.”

매튜 크레이건 (Matthew Kragen)

성격: 매튜는 조지아가 일했던 백화점의 사장으로, 이기적이고 탐욕스러운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습니다.

심리: 조지아의 정체를 알아내기 위해 호텔 직원들을 매수하는 등, 자신의 이익을 위해 다른 사람들을 이용하려 합니다. 그러나 조지아의 진심 어린 고백에 마음이 움직입니다.

대사:

  • “You think you can just come here and take over?”
  • 네가 여기 와서 모든 걸 차지할 수 있다고 생각해?”

셰프 디디에 (Chef Didier)

성격: 셰프 디디에는 그랜드 퍼프 호텔의 유명 셰프로, 소탈하고 열정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음식과 요리에 진심인 그는 조지아와 친구가 됩니다.

심리: 조지아의 요리에 대한 열정과 진심을 알아보고 그녀와 깊은 우정을 나누게 됩니다. 그의 따뜻한 마음은 조지아에게 큰 힘이 됩니다.

대사:

  • “Cooking is not just about ingredients, recipes, and cooking. It’s about harnessing imagination, empowerment, and creativity.”
  • 요리는 단순히 재료와 레시피, 조리법에 관한 것이 아니야. 상상력과 힘, 창의력을 발휘하는 것이지.”

이 영화는 각 인물들의 성격과 심리를 통해 삶의 소중함과 매 순간을 즐기는 것의 중요성을 일깨워줍니다.

 

 

3. 주인공의 심리 변화로 보는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삶 

 

조지아 버드의 여정은 그녀의 심리적 변화와 함께 삶의 소중함을 깨닫고, 사랑과 꿈을 이루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그녀의 여정을 심리와 대사와 함께 정리합니다.

 

초기 단계: 충격과 결심

심리: 조지아는 시한부 선고를 받고 큰 충격을 받습니다. 처음에는 절망에 빠지지만, 곧 남은 시간을 최대한 즐기기로 결심합니다. 그녀는 그동안 꿈꿔왔던 일들을 실현하기 위해 모든 것을 내려놓고 여행을 떠납니다.

대사:

  • “I have spent my entire life in a box. I don’t want to waste another minute.”
  • 난 평생을 상자 속에서 살아왔어. 더 이상 시간을 낭비하고 싶지 않아.”

중간 단계: 자유와 자기 발견

심리: 조지아는 체코의 그랜드 퍼프 호텔에 도착해, 그동안 억눌려왔던 자신을 해방시키고 자유를 만끽합니다. 그녀는 스파, 익스트림 스포츠, 고급 요리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신을 재발견하고, 삶의 즐거움을 느낍니다.

대사:

  • “Next time… we will laugh more, we’ll love more; we just won’t be so afraid.”
  • 다음 생에는 더 많이 웃고, 더 많이 사랑하고, 두려워하지 않을 거야.”

후반 단계: 사랑과 용기

심리: 조지아는 호텔에서 만난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진정한 사랑과 우정을 경험합니다. 특히, 숀 매튜스가 그녀를 찾아와 사랑을 고백하면서, 조지아는 자신의 삶이 얼마나 소중한지 깨닫게 됩니다.

대사:

  • “I came all this way to tell you that I love you.”
  • 널 사랑한다고 말하기 위해 여기까지 왔어.”

결말: 새로운 시작

심리: 조지아는 시한부 판정이 오진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할 기회를 얻게 됩니다. 그녀는 숀과 함께 새로운 꿈을 꾸며, 요리사로서의 꿈을 이루기 위해 레스토랑을 엽니다. 이 과정에서 그녀는 삶의 소중함과 매 순간을 즐기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닫습니다.

대사:

  • “Life is not about the destination, it’s about the journey.”
  • 삶은 목적지가 아니라 여정이야.”

조지아의 여정은 그녀의 심리적 변화와 함께, 삶의 소중함을 깨닫고 사랑과 꿈을 이루는 과정을 감동적으로 그려냅니다. 이 영화는 우리에게 매 순간을 소중히 여기고, 두려움 없이 삶을 즐기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줍니다

 

 

4. 어떻게 살것인가에 대한 메모 

 

라스트 홀리데이는 삶을 살아가는 자세와 관련해 여러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첫째삶의 소중함입니다. 주인공 조지아 버드는 시한부 선고를 받고 나서야 비로소 자신의 삶을 진정으로 즐기기 시작합니다. 이는 우리가 일상 속에서 종종 잊고 지내는 삶의 소중함을 일깨워줍니다. 매 순간을 소중히 여기고, 두려움 없이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둘째용기와 결단력입니다. 조지아는 시한부 선고를 받은 후, 그동안 꿈꿔왔던 일들을 실현하기 위해 과감히 행동합니다. 이는 우리에게 두려움에 맞서고,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해 용기 있게 행동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셋째사랑과 우정의 가치입니다. 조지아는 여행 중 만난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진정한 사랑과 우정을 경험합니다. 특히, 숀 매튜스와의 사랑은 그녀에게 큰 위로와 힘이 됩니다. 이는 인간관계의 중요성과 사랑이 주는 힘을 강조합니다.

 

넷째자기 발견과 성장입니다. 조지아는 여행을 통해 자신을 재발견하고, 새로운 꿈을 꾸게 됩니다. 이는 우리가 끊임없이 자신을 탐구하고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긍정적인 태도입니다. 조지아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잃지 않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긍정적인 마음가짐이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영화는 우리에게 매 순간을 소중히 여기고, 두려움 없이 삶을 즐기며, 사랑과 우정을 소중히 여기고, 끊임없이 자신을 발견하고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