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생활, 회사생활에서 상대가 동료이든 상사이든 또는 고객이거나 경쟁관계이거나, 그 사람의 마음을 얻거나 바꾸는 일은 언제나 어려운 일입니다. 이전에 쓴 글인, '인천국제공항 서비스와 운영에 대한 소견(잦아진 항공기 출발지연이나 품질이 낮아졌다고 느껴지는 인천공항 서비스 개선 방안)'에서도 이럴때 필요한 마인드셋과 심리에 대해서 정리한 바 있습니다.또한, 다양한 전략과 전술에 대해서 소개한 영화 패트리어트(상황에 맞는 게릴라 전술과 희망)과 그레이트 레이드(전략과 전술의 중요성) 등의 글도 있습니다.

 

영화 프렌치키스에서는 연인이었던 티모시 허튼(찰리 리튼 역)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서 주인공 맥 라이언(케이트 역)의 다양한 전략과 기술을 선보입니다. 그녀의 방법을 정리하였고, 일반적으로 마음바꾸는 전략과 전술에 대해서도 정리하였습니다.

1. 영화 프렌치키스

영화 프렌치키스 (French Kiss) 1995년에 개봉한 로맨틱 코미디 영화입니다. 이 영화의 감독으로는 로렌스 캐스단 (Lawrence Kasdan)이 맡았습니다. 주요 출연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맥 라이언 (Meg Ryan): 케이트 역  한국비하 발언에 대해서는 한국인에게 고개숙여 사과한다는 비디오 영상 메시지를 보내어 마무리가 이루어진 것으로 기억함.
  • 케빈 클라인 (Kevin Kline): 뤼크 테시에 역
  • 티모시 허튼 (Timothy Hutton): 찰리 리튼 역
  • 장 르노 (Jean Reno): 장폴 카르동 경감 역
  • 프랑수아 클루제 (François Cluzet): 밥 역
  • 수잔 안베 (Susan Anbeh): 줄리엣 역

영화 내용

케이트(맥 라이언)는 캐나다에 사는 역사 교사로, 의사인 약혼자 찰리(티모시 허튼)과 함께 살고 있습니다. 찰리는 파리에서 열리는 학회에 케이트와 함께 가자고 하지만, 케이트는 비행기 공포증과 치즈에 대한 불내증, 그리고 프랑스에 대한 고정관념 때문에 거절합니다그러나, 며칠 후 약혼자 찰리는 프랑스 여성인 줄리엣(수잔 안베)을 만나고 그녀와 사랑에 빠졌다고 말합니다. 

 

반응형

 

케이트는 찰리를 되찾기 위해 파리로 향하는 비행기에 오르고, 그곳에서 프랑스인 뤼크(케빈 클라인)를 만나게 됩니다. 뤼크는 포도나무 가지와 도난당한 다이아몬드 목걸이를 밀수하려고 케이트의 가방에 몰래 넣습니다. 파리에 도착한 후, 케이트는 찰리와 줄리엣이 키스하는 장면을 목격하고 기절합니다뤼크는 이러한 케이트를 도와주며, 동시에 그녀의 가방에서 그가 밀수한 목걸이를 되찾기 위해 함께 여행을 떠납니다.   

 

여행 중 케이트와 뤼크는 서로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고, 케이트는 찰리를 되찾으려는 계획을 세웁니다. 하지만 결국 케이트는 찰리를 되찾는 대신 뤼크와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영화는 뤼크가 마침내 케이트를 공항/비행기에서 만나, 사랑을 고백하며 끝이 납니다. 이후 포도밭 장면이 아름답게 펼쳐집니다.   

 

파리와 칸에서 촬영되었으며, 아름다운 프랑스 다양한 풍경들을 배경으로 한 이 영화는, 로맨틱 코미디로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2. 여주인공이 사용한 약혼자 마음 돌리기 전략 

영화 프렌치키스 (French Kiss)에서 케이트가 찰리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사용한 전략과 전술은 주로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신감과 독립성 보여주기

케이트는 찰리에게 자신이 독립적이고 자신감 있는 사람임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녀는 파리에서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새로운 경험을 하며 자신을 변화시키려 합니다.

대사:

  • Kate: “I am going to get him back. I am going to make him see what he is missing.”
  • 케이트: “나는 그를 되찾을 거야. 그가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깨닫게 할 거야.”

2. 새로운 모습으로 다가가기

케이트는 찰리와 줄리엣 앞에서 자신을 완전히 다른 사람으로 보이게 합니다. 자신감 있고 세련된 모습으로 변신하여 찰리에게 다가갑니다.

대사:

  • Kate: “I am a new woman, Charlie. I have changed.”
  • 케이트: “나는 새로운 여자가 되었어, 찰리. 나는 변했어.”

3. 뤼크와의 협력

케이트는 뤼크와 협력하여 찰리의 마음을 돌리려 합니다. 뤼크는 케이트에게 자신감을 심어주고, 그녀가 찰리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대사:

  • Luc: “You have to show him that you are not the same woman he left behind.”
  • 뤼크: “그에게 네가 그가 떠난 그 여자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줘야 해.”

4. 찰리의 약점을 이용하기

케이트는 찰리의 약점을 이용하여 그의 마음을 돌리려 합니다. 그녀는 찰리가 자신을 얼마나 필요로 하는지 깨닫게 하려 합니다.

대사:

  • Kate: “He needs to see that he can’t live without me.”
  • 케이트: “그는 나 없이 살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아야 해.”

5. 자신의 가치를 깨닫기

결국 케이트는 찰리를 되찾으려는 시도가 자신의 가치를 깨닫게 하는 과정임을 알게 됩니다. 그녀는 자신이 더 나은 사람과 더 나은 삶을 살 자격이 있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대사:

  • Kate: “I deserve better than this. I deserve someone who loves me for who I am.”
  • 케이트: “나는 이보다 더 나은 것을 받을 자격이 있어. 나는 나를 있는 그대로 사랑해주는 사람을 받을 자격이 있어.”

이러한 전략과 전술을 통해 케이트는 찰리의 마음을 돌리려 하지만, 결국 그녀는 뤼크와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이 영화는 케이트가 자신의 가치를 깨닫고 진정한 사랑을 찾는 과정을 그린 로맨틱 코미디입니다.

 

 

3. 사람의 생각과 마음을 바꾸는 전략과 전술 

 

사람의 생각과 마음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지만, 효과적인 전략과 전술을 사용하면 가능할 수 있습니다

 

1. 공감과 경청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고, 그들의 감정과 생각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입니다이를 통해, 서로간 신뢰를 만들고, 또한 상대방이 그 마음을 열게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시:

  • 당신의 입장을 이해해요. 저도 비슷한 상황을 겪어본 적이 있어요.”

2. 공통점 찾기

대화를 시작할 때, 서로 공감할 수 있는 공통점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이러한 활동은, 서로간에 이루어지는 대화의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들고, 동시에 상대방이 방어적인 태도를 내려놓도록 만들수 있습니다.  

예시:

  • 우리 모두 더 나은 미래를 원하잖아요. 그 점에서는 동의해요.”

3. 이야기와 경험 공유

단순히 사실을 나열하는 것보다, 개인적인 이야기나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이러한 공유는, 상대방이 더 잘 공감하고 더 많이 이해할 수 있게 합니다.

예시:

  • 제가 겪었던 비슷한 상황에서, 이런 방법이 정말 도움이 되었어요.”

4. 긍정적인 언어 사용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언어를 사용합니다무조건적으로 비판적이거나 긍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부정적인 언어는 상대방을 방어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예시:

  • 이 방법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 같아요.”

5. 질문하기

상대방의 생각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질문을 던지세요이는 상대방이 오히려 자신의 입장을 다시 재고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예시:

  • 왜 그렇게 생각하시는지 더 자세히 말씀해 주실 수 있나요?”

6. 감정 표현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도 중요합니다이를 통해, 상대방은 당신의 진심을 느낄수 있으며, 보다 열린 마음으로 대화에 참여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예시:

  • 이 문제에 대해 정말 걱정이 돼요. 그래서 이 방법을 제안하고 싶어요.”

7. 시간과 인내

사람의 마음을 바꾸는 데는 시간이 걸립니다그러므로, 때로는 상당한 인내심을 가지고, 상대방이 직접 판단하거나 생각할 시간을 주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예시:

  • 천천히 생각해보시고, 언제든지 다시 이야기 나눠요.”

이러한 전략과 전술을 통해 상대방의 마음을 바꾸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대화의 목적은 상대방을 설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관계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4. 영화가 남긴 메시지  

영화 프렌치키스 (French Kiss)는 여러 가지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첫째자기 발견과 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주인공 케이트는 약혼자 찰리를 되찾기 위해 프랑스로 떠나지만, 그 과정에서 자신을 재발견하고 성장하게 됩니다. 그녀는 자신의 두려움을 극복하고, 독립적이고 자신감 있는 사람으로 변모합니다. 이는 우리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더 강해질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둘째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탐구합니다. 케이트는 처음에는 찰리를 되찾기 위해 노력하지만, 결국 뤼크와의 관계를 통해 진정한 사랑을 찾게 됩니다. 이는 사랑이란 단순히 한 사람에게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함께 성장하는 것임을 보여줍니다.

셋째변화의 수용입니다. 케이트는 처음에는 변화를 두려워하지만, 결국 변화가 그녀에게 더 나은 삶을 가져다준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이는 변화가 두렵더라도, 그것을 받아들이고 적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넷째자기 가치의 인식입니다. 케이트는 자신이 찰리에게 의존하지 않고도 충분히 가치 있는 사람임을 깨닫게 됩니다. 이는 우리가 스스로의 가치를 인식하고,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 영화는 로맨틱 코미디의 형식을 통해, 자기 발견, 진정한 사랑, 변화의 수용, 그리고 자기 가치의 인식이라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관객들은 자신의 삶에서도 이러한 가치를 실천할 수 있는 영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우리 사회에는 너무도 다종,다양하고 또 이전에는 생각지도 못했던 성범죄가 어딘가에서 매일매일 발생하고 있습니다. 영화에서 나오는 이러한 성범죄를 바라보는 시각과 문제점을 조명합니다. 또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으로, 멋지지만 환상적인 영화속 방법과 현실세계에서 실제로 사용가능한 방안에 대해서 비교하고 정리합니다. 

 

1. 영화 프라미싱 영 우먼

프라미싱 영 우먼(Promising Young Woman)은 에메랄드 페넬(Emerald Fennell)이 감독, 각본, 제작을 맡은 2020년 영화입니다이 영화는 2005년 영화 '오만과 편견'으로 데뷔한 캐리 멀리건(Carey Mulligan)이 여주인공으로 주연을 맡았으며, 2019 71회 미국 작가 조합상 각본상(에이스 그레이드)와 감독상(신인감독부문)을 수상한 보 번햄(Bo Burnham), 앨리슨 브리(Alison Brie), 클랜시 브라운(Clancy Brown), 2023년 제29회 미국배우조합상 TV드라마시리즈부문 여우주연상 (화이트 로투스)를 수상한 제니퍼 쿨리지(Jennifer Coolidge), 라번 콕스(Laverne Cox), 코니 브리튼(Connie Britton) 등이 출연하고 있습니다.

 

수상 내역

이 영화는 여러 영화제에서 많은 상을 수상했습니다

  • 아카데미 시상식: 각본상 수상,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 편집상 후보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 각본상, 영국 작품상 수상
  •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각본상, 여우주연상 수상
  • 골든 글로브상: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 후보

줄거리 정리

 

반응형

 

프라미싱 영 우먼은 주인공 캐시 토마스(Cassie Thomas)가 친구 니나(Nina)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다루고 있습니다캐시는 의대 중퇴 후 생활비를 벌기위해 낮에는 커피숍에서 일하지만, 밤에는 술에 취한 척하는 그녀에게 추근대는 남성들이 자신에게 못된 짓을 하려는 순간 그들을 응징하고 있습니다.  

 

캐시는 옛 친구 라이언(Ryan)과 재회하고 그와 데이트를 시작하지만, 라이언이 니나의 강간 사건에 연루된 사실을 알게 됩니다. 캐시는 니나의 사건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에게 복수를 시작합니다그녀는 니나를 비난한 친구, 니나의 강간 사건과 죽음을 무시한 학장 등을 차례로 찾아가 응징합니다.  

 

결국 캐시는 니나를 강간한 알(Al)의 결혼식 전날 밤, 그의 총각 파티에 침입해 그를 응징하려 하지만, 알에게 살해당합니다캐시는 이번 일을 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죽음을 맞이할 것을 예견하고, 사전에 경찰에게 관련된 증거를 남기게 되며, 이를 통해 알과 그의 친구가 체포되도록 합니다.

 

이 영화는 복수와 정의, 그리고 용서에 대한 복잡한 감정을 다루며, 캐리 멀리건의 강렬한 연기와 에메랄드 페넬의 뛰어난 연출로 많은 찬사를 받았습니다.

 

 

2. 성범죄에 대한 영화속 다양한 시각 

프라미싱 영 우먼은 성범죄와 그에 대한 사회적 시각을 강렬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영화 속 대사들을 통해 성범죄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문제점을 조명합니다

  1. 캐시: “Can you guess what every woman’s worst nightmare is?”
    (
    모든 여성이 가장 두려워하는 악몽이 뭔지 아세요?)

  2. 딘 워커: “None of us want to admit when we’ve made ourselves vulnerable, when we made a bad choice. And those choices, those mistakes, can be so damaging, and really regrettable… I mean, what would you have me do? Ruin a young man’s life every time we get an accusation like this?”
    (
    우리는 누구도 자신이 취약해졌을 때, 잘못된 선택을 했을 때를 인정하고 싶지 않습니다. 그런 선택과 실수는 매우 파괴적이고 정말 후회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런 고발이 있을 때마다 젊은 남자의 인생을 망치라는 건가요?)

  3. : “You know, I was affected by it too, okay? I mean, it’s every guy’s worst nightmare, getting accused like that.”
    (
    나도 그 일로 영향을 받았어요, 알겠어요? 그러니까, 그런 식으로 고발당하는 건 모든 남자의 최악의 악몽이에요.)

  4. 캐시: “Every week, I go to a club, and every week, I act like I am too drunk and stand. And every f***ing week, a nice guy comes over to see if I’m okay.”
    (
    매주 클럽에 가서 너무 취한 척 서 있어요. 그리고 매주, 친절한 남자가 와서 내가 괜찮은지 확인해요.)

이 영화는 성범죄와 그에 대한 사회적 시각을 날카롭게 비판하며, 피해자들이 겪는 고통과 사회적 무관심을 강조합니다. 성범죄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문제임을 상기시킵니다.

 

 

3. 성범죄 처리에 대한 영화와 실제 비교 

프라미싱 영 우먼에서 주인공 캐시가 성범죄를 다루는 방식은 매우 극적이고 개인적인 복수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녀는 법적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느끼고, 직접 가해자들을 응징하는 길을 선택합니다. 이는 영화의 서사와 캐릭터의 동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지만, 현실적인 성범죄 예방 및 처리 방안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가. 영화 속 방법

  1. 개인적 복수: 캐시는 친구 니나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위해 직접 가해자들을 찾아가 응징합니다.

  2. 사회적 경각심 고취: 캐시는 술에 취한 척하며 남성들이 자신을 이용하려는 순간을 포착해 그들의 행동을 폭로합니다.

  3. 법적 시스템에 대한 불신: 캐시는 법적 시스템이 피해자를 보호하지 못한다고 느끼고, 스스로 정의를 실현하려 합니다.

 나. 실제로 적절한 성범죄 예방 및 처리 방안

  1. 교육과 인식 개선: 성범죄 예방의 첫 단계는 교육입니다학교와 직장 그리고 가정에서 다양하고 깊이있는 성교육과 성범죄 예방 교육을 통해, 성범죄의 사회적 심각성과 이로 인해 발생한 피해자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합니다.

  2. 강력한 법적 조치: 성범죄에 대한 강력한 법적 조치와 처벌이 필요합니다피해자가 누구보다 안전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신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고, 가해자에 대해서는 철저한 조사와 그에 맞는 처벌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3. 피해자 지원 서비스: 피해자에게 심리적, 법적 지원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필요합니다피해자가 안심할 수 있고 또 안전하게 회복할 수 있도록 사회 전체가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사회적 지지와 연대: 성범죄 피해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연대가 필요합니다우리 사회에서는 피해자를 비난하거나 의심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될 것이며, 오히려 그리고 당연히 그들의 감정을 경청하고 지지하는 문화가 형성되어야 합니다. 
  5. 정기적 지속적인 교육과 예방 훈련: 가정, 직장과 학교에서는 정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성범죄 예방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여, 우리 사회의 모두가 성범죄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만 합니다.  

 다. 비교

  • 영화 속 방법은 극적이고 개인적인 복수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현실적인 해결책으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는 법적 시스템의 한계를 강조하고, 사회적 경각심을 고취하는 데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법적 절차와 사회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 실제 방법은 교육, 법적 조치, 피해자 지원, 사회적 지지, 정기적인 교육과 훈련 등을 통해 성범죄를 예방하고 처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는 피해자를 보호하고, 가해자를 처벌하며, 성범죄를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성범죄 예방과 처리는 개인적인 복수보다는 체계적이고 사회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습니다.

 

 

4. 많은 상을 수상한 이유 

 

프라미싱 영 우먼은 여러 영화제에서 많은 상을 수상하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1. 강렬한 주제와 메시지: 영화는 성범죄와 그에 대한 사회적 시각을 날카롭게 비판합니다이는 많은 사람들에게 너무나도 깊은 이미지를 제시했고, 이러한 성범죄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켰습니다.

  2. 에메랄드 페넬의 뛰어난 각본과 연출: 감독이자 각본가인 에메랄드 페넬의 독창적이고 강렬한 스토리텔링이 많은 찬사를 받았습니다그녀는 친구에 대한 그리고 옳지 못한 일에 대한 복수를 추진하였고, 동시에 그들과 그 일에 대한 용서의 감정도 표현하였습니다.   

  3. 캐리 멀리건의 뛰어난 연기: 주연을 맡은 캐리 멀리건의 연기는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그녀는 여주인공이자 주연인 캐시의 복잡하고 착잡한 심리를 섬세하게 표현하며 우리에게 깊은 인상을 제시했습니다. 

  4. 독창적인 접근 방식: 영화는 전통적인 복수극의 틀을 벗어나, 성범죄와 그에 대한 사회적 반응을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합니다. 이는 많은 비평가들과 관객들에게 신선하게 다가왔습니다.



5. 영화가 주는 메시지

프라미싱 영 우먼은 여러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1. 성범죄의 심각성: 영화는 성범죄가 피해자에게 얼마나 큰 상처를 주는지, 그리고 그 상처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를 강조합니다.

  2. 사회적 책임: 영화는 성범죄에 대한 사회적 무관심과 피해자 비난 문화를 비판합니다. 피해자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3. 정의와 복수: 영화는 정의와 복수의 경계에 대해 질문을 던집니다. 캐시의 복수는 개인적인 정의 실현이지만, 이는 법적 시스템의 한계를 드러내고, 사회적 정의에 대한 논의를 촉발합니다.

  4. 용서와 치유: 영화는 용서와 치유의 복잡한 감정을 탐구합니다. 캐시는 친구 니나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통해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려 하지만, 이는 또 다른 비극을 초래합니다.

이 영화는 성범죄와 그에 대한 사회적 시각을 날카롭게 비판하며,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반응형

1. 영화 경주

영화 경주는 장률 감독이 연출한 2014년 개봉작입니다. 이 영화는 경주의 아름다운 풍경을 배경으로 한 로맨틱 드라마로, 박해일과 신민아가 주연을 맡았습니다.

 

감독 및 출연진

  • 감독: 장률
  • 주연
    o 박해일: 최현 역
    o 신민아: 공윤희 역
  • 조연
    o 윤진서: 김여정 역
    o 김태훈: 이영민 역
    o 신소율: 다연 역
    o 류승완: 강 선생 역
    o 백현진: 박 교수 역

영화 줄거리

 

반응형

 

최현(박해일)은 북경대 교수로, 친구의 장례식을 위해 한국에 돌아오게 됩니다. 그는 7년 전 경주에서 본 춘화를 떠올리며, 그 그림을 다시 찾기 위해 경주로 향합니다그는 경주에서 7년 전에 방문했던 찻집 아리솔의 새로운 주인인 공윤희(신민아)를 만나게 되고, 두 사람은 경주를 둘러보게 되며 서서히 서로에게 끌리게 됩니다. 

 

중반부에서는 최현이 과거의 애인 여정(윤진서)을 경주로 불러들이지만, 여정은 불안해하며 곧 떠나버립니다. 최현은 다시 찻집을 찾아가고, 윤희와의 관계는 점점 깊어집니다윤희는 최현에게 점차 호기심을 느끼고, 결국 두 사람은 윤희의 계모임으로 생긴 저녁 술자리를 함께 참석하게 됩니다. 

 

결말에서는 최현이 경주에서의 하루를 마무리하며,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습니다마침내, 최현은 이곳에서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이며 마무리 됩니다. 

 

이 영화는 경주의 아름다운 풍경과 함께, 인물들의 복잡한 감정선을 섬세하게 그려내어 많은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2. 영화에서 사용한 미니멀리즘기법

 

영화 "경주"는 미니멀리즘 기법을 통해 인물들의 감정과 경주의 분위기를 섬세하게 표현합니다. 미니멀리즘은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고, 필수적인 요소만을 남겨 작품의 본질을 강조하는 예술적 접근 방식입니다. "경주"에서 이러한 미니멀리즘 기법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정리합니다.

1. 배경 음악의 최소화

미니멀리즘의 핵심은 불필요한 요소를 배제하는 것입니다. "경주"에서는 배경 음악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대신 자연의 소리와 공간의 울림을 활용합니다. 이는 관객이 인물들의 대화와 감정에 더욱 집중하게 만들며, 현실감을 높입니다예를 들어, 찻집인 아리솔에서 들리는 바람 소리며 새소리를 배경으로, 인물들의 대화에 더욱 몰입감을 제공합니다.  

2. 공간의 소리 활용

공간의 소리를 활용하는 것은 미니멀리즘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경주"에서는 경주의 다양한 공간에서 들리는 소리를 통해 각 장면의 분위기를 조성합니다예를 들어, 최현과 공윤희가 함께 왕릉을 방문하는 장면을 통해, 자연과 공간의 소리를 활용하여 고요하고 평화로운 분위기를 만들고 있습니다. 

3. 침묵의 활용

침묵은 미니멀리즘에서 강력한 표현 도구로 사용됩니다. "경주"에서는 인물들 간의 대화 사이에 긴 침묵을 삽입하여 감정의 깊이를 더합니다이를 통해, 영화는 관객에게 등장인물들의 내면을 생각하게 만들고 또한, 영화를 시적이며 서정적인 분위기를 더하게 해줍니다. 

4. 시각적 미니멀리즘

시각적 미니멀리즘은 화면 구성에서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고, 필수적인 요소만을 남겨 시각적 집중도를 높이는 기법입니다. "경주"에서는 단순하고 깔끔한 화면 구성을 통해 인물들의 감정과 경주의 아름다움을 강조합니다예를 들어, 아리솔 찻집이 제공하는 인테리어와 경주의 전통적인 유적들과 건축물들이 미니멀리즘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5. 리얼리즘

미니멀리즘은 리얼리즘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경주"에서는 배경 음악을 최소화하고 자연의 소리와 공간의 울림을 활용하여 리얼리즘을 추구합니다. 이러한 기법은 관객에게 인물들의 감정과 상황에 더욱 몰입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미니멀리즘 기법들은 "경주"의 서정적이고 감성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영화 속에서 이러한 기법들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다시 한번 감상해보시면 더욱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할 것입니다.

 

 

3. 영화에서 사용한 점멸편집기법 또는 블랙프레임기법 

 

영화 "경주"에서 사용된 점멸편집기법 또는 블랙프레임기법은 인물들의 짧은 고민이나 망설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기법은 관객에게 인물들의 내면을 더욱 깊이 이해하게 하고, 영화의 서정적인 분위기를 강화합니다.

 

점멸편집기법 (Flicker Editing Technique)

점멸편집기법은 화면이 깜박이거나 잠시 검게 변하는 효과를 통해 인물의 심리 상태나 시간의 흐름을 표현하는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심리적 표현: 인물의 짧은 고민이나 망설임을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예를 들어, 늦은 시각 찻집 아리솔의 여주인이 집에 들어올지 말지 마음대로 하라는 말을 들었을 때, 최현이 고민하는 장면에서 화면이 깜박이는 효과를 사용하여 그의 내면 갈등을 강조합니다. 
  2. 시간의 흐름: 짧은 시간의 흐름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예를 들어, 찻집 아리솔의 여주인이 그동안 춘화를 가려왔던 벽지를 뜯는 장면에서 화면이 잠시 검게 변하게 표현하는 것은, 시간의 흐름과 동시에 심적인 결단을 시각적으로 나타냅니다.

블랙프레임기법 (Black Frame Technique)

블랙프레임기법은 화면이 잠시 검게 변하는 효과를 통해 장면 전환이나 인물의 심리 상태를 표현하는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장면 전환: 장면 전환을 부드럽게 하거나, 특정 순간을 강조하는 데 사용됩니다예를 들어, 찻집 아리솔의 여주인이 춘화를 가렸던 벽지를 뜯는 장면에서 블랙프레임을 사용하여, 그녀의 결단과 그것의 중요성을 표현합니다. 
  2. 심리적 표현: 인물의 내면 갈등이나 망설임을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최현이 찻집 여주인의 집에 들어갈지 말지 고민하는 장면에서 블랙프레임을 사용하여 그의 심리적 갈등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기법들은 "경주"의 서정적이고 감성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영화 속에서 이러한 기법들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다시 한번 감상해보시면 더욱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할 것입니다.

 

 

4. 영화 경주가 주는 메시지 

영화 "경주"는 삶과 죽음, 과거와 현재, 그리고 인간 관계의 복잡성을 탐구하는 작품입니다. 장률 감독과 출연진은 이 영화를 통해 여러 가지 깊이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1. 삶과 죽음의 공존

"경주"는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공간을 배경으로 합니다. 영화 속 경주는 왕릉과 같은 죽음의 상징들이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있는 곳입니다이는 관객들에게 죽음마저도 우리 삶의 일부임을 각인시키고 있으며 또한, 죽음과 함께 살아가는 있는 우리 자신의 삶을 제시합니다.예를 들어, 최현이 경주에서 만나는 인물들은 모두 죽음과 관련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그들의 삶에 깊은 영향을 미칩니다.

2. 과거와 현재의 교차

영화는 과거와 현재를 교차시키며 인물들의 내면을 탐구합니다최현이 경주에서 과거의 연인 여정을 떠올리고 전화하고 만나면서도, 현재의 윤희와 역시 관계를 맺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러한 교차는 관객들에게 과거의 경험이 현재의 자신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상기시킵니다.

3. 인간 관계의 복잡성

"경주"는 인간 관계의 복잡성과 그로 인한 감정의 변화를 섬세하게 그려냅니다최현과 윤희, 그리고 여정 사이의 관계는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남녀간의 그저 그런 애정이 아닌, 각자가 현재 지니고 있는 그들 자신들의 상처를 표현합니다. 이는 관객들에게 인간 관계의 복잡성과 그로 인한 감정의 깊이를 이해하게 합니다.

4. 내면의 성찰

영화는 인물들이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최현은 이곳에서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되돌아보는 계기를 만들게 됨에 따라, 그가 이제는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여줄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객들에게 자기 성찰을 제시합니다.이는 삶의 여정에서 자신을 돌아보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5. 미니멀리즘과 침묵의 힘

"경주"는 배경 음악을 최소화하고, 공간의 소리와 침묵을 활용하여 인물들의 감정을 표현합니다. 이러한 미니멀리즘 기법은 관객들에게 감정의 깊이를 느끼게 하며, 침묵 속에서 인물들의 내면을 상상하게 만듭니다. 이는 영화의 서정적이고 감성적인 분위기를 강화합니다.

6. 문화와 국적의 경계

영화는 다양한 문화와 국적의 경계를 넘나드는 인물들을 통해, 경주라는 공간이 가지는 다문화적 특성을 강조합니다. 최현과 윤희의 배경은 각각 중국과 한국을 대표하며, 이는 관객들에게 문화적 다양성과 그로 인한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상기시킵니다.

7. 희망과 절망의 공존

"경주"는 절망 속에서도 희망을 찾는 인물들의 모습을 그립니다. 최현이 경주에서 겪는 여러 사건들은 그에게 절망을 안겨주지만, 동시에 새로운 시작을 위한 희망을 제공합니다. 이는 관객들에게 삶의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러한 메시지들은 "경주"를 단순한 로맨틱 드라마가 아닌, 깊이 있는 철학적 드라마로 만들어줍니다. 영화 속 인물들의 여정을 통해 관객들은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1. 영화 더 이글

영화더 이글” (The Eagle) 2011년에 개봉한 역사 드라마 영화로케빈 맥도널드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습니다. 이 영화는 서기 140년부터 시작되므로, 영화 글래디에이터(Gladiator, 2000)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리처드 해리스, Richard St. John Harris) 황제(121 ~ 180)과 콤모두스 황제(161~192)와 비교할 때, 약간 앞선 시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로즈메리 섯클리프의 소설 The Eagle of the Ninth를 원작으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출연진으로는 채닝 테이텀(마르쿠스 아퀼라 역) 제이미 벨(에스카 역)이 있습니다

 

영화의 줄거리

 

반응형

 

1. 배경 설정 영화는 2세기 로마 제국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마르쿠스 아퀼라(채닝 테이텀)는 아버지가 잃어버린 제9군단의 휘장인 독수리를 찾기 위해 스코틀랜드의 미지의 땅으로 향합니다. 이 휘장은 그의 가문에 큰 의미가 있으며, 이를 되찾음으로써 명예를 회복하고자 합니다.

 

2. 여정의 시작 마르쿠스는 군 복무 중 부상을 입고 명예 제대를 하게 되지만, 독수리를 찾겠다는 결심은 굳건합니다. 그는 자신의 몸종이자 동료인 에스카(제이미 벨)와 함께 북쪽으로 향합니다. 에스카는 게르만 출신의 포로로, 마르쿠스와의 우정을 통해 서로의 문화와 신념을 이해하게 됩니다.

 

3. 하드리아누스 방벽 두 사람은 하드리아누스 방벽을 넘어 북쪽으로 진입하며, 그 과정에서 제9군단의 패잔병들과 마주치게 됩니다. 이들은 과거의 전투에서 패배한 로마 군인들로, 마르쿠스는 그들과의 대화를 통해 독수리의 행방에 대한 단서를 얻습니다.

 

4. 실 부족과의 대치 마르쿠스와 에스카는 실 부족과의 충돌을 겪으며, 독수리를 찾기 위한 고난과 역경을 겪습니다. 이 과정에서 에스카는 마르쿠스를 돕기로 결심하고, 두 사람은 다시 독수리를 찾기 위해 힘을 합칩니다.

 

5. 결말 영화의 클라이맥스에서 마르쿠스와 에스카는 독수리를 되찾고, 이를 통해 마르쿠스는 자신의 명예를 회복합니다. 영화는 명예와 우정, 그리고 정체성에 대한 깊은 탐구를 통해 마무리됩니다.

"
더 이글"은 명예, 우정,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 간의 이해를 주제로 하며, 로마 제국의 역사적 배경을 통해 인간관계의 깊이를 탐구합니다.

 

 

2. 주인공의 심리 변화 단계 정리 

마르쿠스 아퀼라의 심리 변화는 영화 "더 이글"에서 중요한 주제 중 하나입니다. 그의 여정은 개인적인 성장과 명예 회복을 향한 갈망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의 심리 변화 단계를 정리합니다.

 

1. 초기 상태: 상실과 고뇌

마르쿠스는 아버지의 유산인 제9군단의 독수리를 잃은 상태로 시작합니다. 그는 명예를 회복하고 싶지만, 부상으로 인해 군에서 퇴역하게 됩니다.

  • 대사
    o 영어: “I will find it. I will bring it back.”
    o 한국어: “나는 그것을 찾을 것이다. 다시 가져올 것이다.”

2. 결심: 목표 설정

마르쿠스는 독수리를 찾겠다는 결심을 하며, 에스카와 함께 여정을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정체성과 명예에 대한 강한 열망을 느낍니다.

  • 대사
    o 영어: “This is not just a quest for a symbol; it’s about my family’s honor.”
    o 한국어: “이것은 단순한 상징을 찾는 것이 아니다; 내 가족의 명예에 관한 것이다.”

3. 갈등: 문화적 차이와 우정

여정 중 마르쿠스는 에스카와의 관계를 통해 서로 다른 문화와 신념을 이해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편견을 극복하고 진정한 우정을 쌓아갑니다.

  • 대사
    o 영어: “You are not just a slave; you are my friend.”
    o 한국어: “너는 단순한 노예가 아니다; 너는 내 친구다.”

4. 위기: 정체성의 혼란

마르쿠스는 실 부족과의 충돌을 겪으며 자신의 정체성과 로마의 가치에 대해 의문을 품게 됩니다. 그는 과거의 전투에서의 패배와 자신의 역할에 대해 고민합니다.

  • 대사
    o 영어: “What does it mean to be Roman if we cannot honor our own?”
    o 한국어: “우리가 우리 자신을 존중할 수 없다면 로마인이란 무엇인가?”

5. 결정: 명예 회복

마르쿠스는 독수리를 되찾고, 이를 통해 자신의 명예를 회복합니다. 그는 과거의 상처를 극복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받아들이게 됩니다.

  • 대사
    o 영어: “I have found it. I have brought it back.”
    o 한국어: “나는 그것을 찾았다. 다시 가져왔다.”

6. 마무리: 성장과 화해

영화의 마지막에서 마르쿠스는 자신의 여정을 통해 성장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는 에스카와의 우정을 통해 진정한 의미의 명예를 깨닫게 됩니다.

  • 대사
    o 영어: “Honor is not just a symbol; it’s what we carry in our hearts.”
    o 한국어: “명예는 단순한 상징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마음속에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심리 변화는 마르쿠스의 캐릭터를 깊이 있게 만들어 주며, 영화의 주제를 더욱 풍부하게 합니다

 

 

3. 휘장, 명예, 자유가 주는 의미 

영화 "더 이글"에서 나타나는 휘장명예자유는 각각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세 가지 요소는 주인공 마르쿠스 아퀼라의 여정과 성장에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1. 휘장 (독수리)

휘장은 로마 제국의 상징으로, 군단의 정체성과 명예를 나타냅니다. 마르쿠스 아퀼라의 아버지가 잃어버린 제9군단의 독수리는 단순한 군사적 상징을 넘어, 가족의 역사와 명예를 회복하기 위한 목표로 작용합니다. 휘장을 찾는 과정은 마르쿠스가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로마의 가치와 전통을 재확인하는 여정입니다.

  • 의미: 휘장은 명예와 정체성의 상징으로, 잃어버린 것을 되찾는 과정은 개인의 성장과 회복을 의미합니다.

2. 명예

명예는 영화 전반에 걸쳐 중요한 주제로, 마르쿠스는 아버지의 유산을 되찾고 자신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는 군인으로서의 의무와 개인적인 자존심 사이에서 갈등하며, 명예를 지키기 위해 위험을 감수합니다. 에스카와의 관계를 통해 그는 명예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게 됩니다.

  • 의미: 명예는 개인의 가치와 사회적 지위를 결정짓는 요소로, 마르쿠스의 여정은 명예를 회복하는 과정이자, 진정한 우정과 이해를 통해 명예의 의미를 재정립하는 과정입니다.

3. 자유

자유는 마르쿠스와 에스카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에스카는 노예로서의 삶을 살고 있지만, 마르쿠스와의 우정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자유를 갈망하게 됩니다. 영화는 자유가 단순히 물리적인 상태가 아니라, 개인의 선택과 자아 실현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개념임을 보여줍니다.

  • 의미: 자유는 개인의 선택과 자아 실현을 의미하며, 마르쿠스와 에스카의 관계는 서로의 자유를 존중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더욱 깊어집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영화의 주제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며, 마르쿠스의 여정은 단순한 모험을 넘어 인간 존재의 깊은 의미를 탐구하는 과정으로 그려집니다

 

 

4. 인간 본성과 가치에 대한 탐구 

영화 "더 이글"은 여러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주인공 마르쿠스 아퀼라의 여정을 통해 인간의 본성과 가치에 대한 깊은 탐구를 보여줍니다. 아래는 영화가 주는 주요 메시지입니다.

1. 명예의 중요성

영화는 명예가 개인의 정체성과 사회적 지위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합니다. 마르쿠스는 아버지의 유산인 독수리를 되찾기 위해 노력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명예를 회복하고자 합니다. 명예는 단순한 상징이 아니라, 개인의 삶의 방향과 의미를 결정짓는 요소로 그려집니다.

  • 메시지: 명예는 개인의 가치와 자존감을 형성하며, 이를 지키기 위한 노력은 인간의 본질적인 갈망 중 하나입니다.

2. 우정과 이해

마르쿠스와 에스카의 관계는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두 인물이 어떻게 우정을 쌓고 서로를 이해하게 되는지를 보여줍니다. 에스카는 처음에는 마르쿠스의 노예로 시작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들은 진정한 친구가 됩니다. 이 과정은 문화적 차이를 넘어서는 인간의 본질적인 연결을 강조합니다.

  • 메시지: 진정한 우정은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데서 비롯되며, 이는 개인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3. 자아 발견과 정체성

마르쿠스는 여정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하게 됩니다. 그는 로마의 군인으로서의 역할과 개인적인 가치 사이에서 갈등하며, 결국 자신의 진정한 정체성을 찾게 됩니다. 에스카와의 관계를 통해 그는 자신의 가치관을 재정립하고, 더 넓은 세계를 이해하게 됩니다.

  • 메시지: 자아 발견은 개인의 성장에 필수적이며,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4. 자유의 의미

영화는 자유가 단순히 물리적인 상태가 아니라, 개인의 선택과 자아 실현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개념임을 보여줍니다. 에스카는 마르쿠스와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자유를 갈망하게 되며, 이는 그들의 관계를 더욱 깊게 만듭니다.

  • 메시지: 진정한 자유는 개인의 선택과 자아 실현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인간 존재의 본질적인 부분입니다.

5. 문화 간의 이해

영화는 서로 다른 문화와 신념을 가진 인물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이해할 수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마르쿠스와 에스카는 서로의 배경을 이해하며, 이를 통해 더 깊은 관계를 형성합니다.

  • 메시지: 문화 간의 이해와 존중은 평화로운 공존을 위한 필수 요소이며, 이는 개인의 성장에도 기여합니다.

이러한 메시지들은 "더 이글"을 단순한 역사 드라마 이상의 작품으로 만들어 주며, 관객에게 깊은 감동과 생각할 거리를 제공합니다

반응형

1. 영화 플래쉬 오브 지니어스

영화 '플래쉬 오브 지니어스(Flash Of Genius)는 2008년에 개봉한 미국의 전기, 실화를 바탕으로 한 드라마 영화로, 마크 아브라함(Marc Abraham)이 감독을 맡았습니다.주요 출연진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렉 키니어: 로버트 커언스 역
  • 로렌 그레이엄: 필리스 커언스 역
  • 더모트 멀로니: 길 프레빅 역
  • 앨런 알다: 그레고리 로슨 역

영화는 로버트 커언스가 자동차 업계와 벌인 법적 싸움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참조: 조직에 대응한 정의로운 개인들에 대한 정지영감독의 영화 소년들(2023), 국내영화) 커언스는 속도조절 와이퍼를 발명했지만, 그의 아이디어가 어처구니 없게도 포드 자동차 회사에 의해 도용되었다고 주장합니다.  

 

줄거리 

 

반응형
  1. 초기 설정: 1953, 로버트 커언스는 결혼식 날 사고로 한쪽 눈의 시력을 거의 잃게 됩니다. 10년 후, 그는 여섯 아이의 아버지로 행복한 가정을 꾸리고 있습니다어느 비내리는 날, 자동차 와이퍼의 지속적이고 멈추지 않는 움직임이 그의 시력을 방해하자, 그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눈 깜박임을 모델로 한 속도조절 와이퍼를 발명하게 됩니다.
  2. 발명과 시연: 커언스는 친구 길 프레빅의 재정 지원을 받아 와이퍼를 개발하고, 이를 포드 연구원들에게 시연합니다포드는 마침내 커언스의 발명에 관심을 보이지만, 그들은 커언스의 아이디어를 도용하여 자체적으로 속도조절이 되는 와이퍼를 생산합니다.   

  3. 법적 싸움: 커언스는 포드와의 법적 싸움을 시작하지만, 이 과정에서 정신적, 육체적으로 큰 고통을 겪습니다그의 고집과 집착은 결국 그의 가족 관계에도 좋지않은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4. 결말: 법정에서 커언스는 자신을 변호하며 포드의 특허 침해를 입증합니다. 배심원단은 포드가 그의 특허를 침해했지만, 고의적이지는 않았다고 판결합니다커언스는 미화로 1,010만 달러의 배상금을 받게 되며, 그 이후에는 또다른 자동차 회사인 크라이슬러와의 소송에서도 1,870만 달러를 받게 됩니다. 

이 영화는 한 발명가의 끈기와 정의를 향한 투쟁을 감동적으로 그려내고 있습니다

 

 

2. 실화와 영화 차이 

 

'플래쉬 오브 지니어스'는 로버트 커언스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1. 시간 축소: 영화는 커언스의 법적 싸움을 압축하여 보여줍니다그러나, 실제 그와 포드와의 소송은 30년 동안 이어집니다. 다만, 영화에서는 이 길고 긴 과정을 단축하여 표현했습니다. 

  2. 개인적 요소: 영화는 드라마틱한 효과를 위해 커언스의 개인적 삶과 가족 관계를 강조합니다실제 그의 이러한 고집과 집착이 가족에게 좋지않은 관계의 악영향을 미쳤지만, 영화에서는 이를 (당연히) 더욱 극적으로 묘사합니다.

  3. 법정 장면: 영화에서는 법정 장면이 주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실제 커언스는 법정에서 그 자신이 변호사가 되어 자신을 변호했지만, 영화에서는 이를 극적인 연출을 통해 관객의 감정적 반응을 이끌어 냅니다.

  4. 결과: 영화에서는 커언스가 포드와 크라이슬러를 상대로 승소하는 장면이 강조됩니다실제 그는 두 회사로부터 각각 미화로 1,010만 달러와 1,870만 달러를 받아내게 되지만, 영화에서는 이 과정이 간략하고 또 간결하게 묘사합니다.

 

3. 거대 조직과 개인의 대결을 위해 필요한 요소

 

개인이 거대 조직과의 싸움에서 승리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플래쉬 오브 지니어스 영화 속 대사와 함께 이를 정리합니다.

1. 끈기와 인내

  • 영어: “Whatever happened to this little thing called justice we talked about?” - Bob Kearns
  • 한국어: “우리가 이야기했던 정의라는 작은 것이 어떻게 된 거죠?” - 밥 커언스

커언스는 정의를 위해 끊임없이 싸웠습니다. 거대 조직과의 싸움은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많은 좌절과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대결하는 끈기와 인내가 필요합니다.

2. 법적 지식과 전략

  • 영어: “This is justice, Bob. This is how justice is dispensed in this country - with checkbooks.” - Gregory Lawson
  • 한국어: “이게 정의야, . 이 나라에서는 정의가 이렇게 수표로 이루어져.” - 그레고리 로슨

법적 지식과 전략은 거대 조직과의 싸움에서 필수적입니다. 커언스는 법정에서 자신을 변호하며 포드의 특허 침해를 입증했습니다법적인 지식과 그에 따른 절차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효과적인 전략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3. 지지와 지원

  • 영어: “You get a check, and that check makes the lives of you and your family a little easier… a little more pleasant.” - Gregory Lawson
  • 한국어: “당신은 수표를 받고, 그 수표는 당신과 가족의 삶을 조금 더 쉽게 조금 더 즐겁게 만들어줘.” - 그레고리 로슨

가족과 친구들의 지지와 지원은 큰 힘이 됩니다. 커언스는 친구 길 프레빅의 재정 지원을 받아 와이퍼를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주변 사람들의 이러한 지지와 격려 그리고 도움은 어렵고 지난한 싸움에서 당연히 큰 힘이 될 것입니다.

4. 정의에 대한 믿음

  • 영어: “There are no brass bands, you know, there are no ticker tape parades, the mayor doesn’t give you the key to the city and call you a hero.” - Gregory Lawson
  • 한국어: “브라스 밴드도 없고, 티커 테이프 퍼레이드도 없고, 시장이 도시의 열쇠를 주며 당신을 영웅이라고 부르지도 않아.” - 그레고리 로슨

정의에 대한 믿음과 신념이 중요합니다. 커언스는 자신의 발명이 도용되었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싸웠습니다이처럼 정의를 향한 굳은 믿음이 그를 끝까지 거대기업과 대결하며 싸우게 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결합되어 개인이 거대 조직과의 싸움에서 승리할 수 있게 합니다.

 

 

4. 진실을 향해 달리는 이를 통해 배우는 교훈 

플래쉬 오브 지니어스는 여러 가지 중요한 교훈을 우리에게 전달합니다.

 

첫째정의와 진실을 향한 끈기입니다. 로버트 커언스는 자신의 발명이 도용되었음을 알고, 이를 바로잡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포기하지 않고 싸웠습니다. 그의 끈기와 인내는 결국 정의를 실현하게 했습니다. 이는 우리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노력해야 한다는 교훈을 줍니다.

 

둘째가족과 친구의 지지의 중요성입니다. 커언스는 친구 길 프레빅의 재정 지원과 가족의 지지를 통해 어려운 싸움을 이어갈 수 있었습니다. 주변 사람들의 지지와 격려는 큰 힘이 되며, 이는 우리가 서로를 돕고 지지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상기시켜줍니다.

 

셋째법적 지식과 전략의 필요성입니다. 커언스는 법정에서 자신을 변호하며 포드의 특허 침해를 입증했습니다. 이는 우리가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전략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넷째정의에 대한 믿음입니다. 커언스는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싸웠으며, 그의 신념은 그를 끝까지 싸우게 했습니다. 이는 우리가 정의를 믿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교훈을 줍니다.

 

마지막으로개인의 힘입니다. 커언스는 거대 조직과의 싸움에서 승리함으로써, 한 개인의 힘이 얼마나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는 우리가 스스로를 믿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일깨워줍니다.

 

이 영화는 이러한 교훈들을 통해, 우리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반응형

1. 영화 모짜르트와 고래

영화 '모짜르트와 고래(Mozart And The Whale)' 2005년에 개봉한 미국의 멜로, 로맨스, 코미디 그리고 드라마 영화입니다. 감독은 페테르 내스 (Petter Næss)가 맡았으며, 각본은 로널드 바스 (Ronald Bass)가 썼습니다.

 

주요 출연진

  • 조쉬 하트넷 (Josh Hartnett): 도널드 모튼 역
  • 라다 미첼 (Radha Mitchell): 이사벨 소렌슨 역
  • 게리 콜 (Gary Cole): 월레스 역
  • 엘렌 에반젤리스타 (Erica Leerhsen): 조이 역
  • 쉘라 켈리 (Sheila Kelley): 그레고리 역
  • 에리카 레어센 (Erica Leerhsen): 브론윈 역
  • 존 캐럴 린치 (John Carroll Lynch): 그레고리 역

영화 요약

 

반응형

 

도널드 모튼 (Donald Morton)(조쉬 하트넷)은 자폐증의 일종인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으며, 숫자에 천재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자폐증 지역 모임을 이끌고 있으며, 일상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어느 날이사벨 소렌슨 (Isabelle Sorenson)(라다 미첼)이 모임에 새로 가입하게 됩니다. 이사벨 역시 동일하게 아스퍼거 증후군을 겪고 있으며, 그녀는 특별히 미술과 음악에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도널드와 이사벨은 서로에게 끌리게 되고, 깊은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그러나 두 사람 모두 사회적 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갈등이 생깁니다. 도널드는 지속적으로 정상적인 사람들 사이에서 자신감을 찾으려 노력하지만, 반대로 이사벨은 도널드가 자신의 비정상적인 영역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 느끼고 실망합니다.

 

결국 이사벨은 도널드를 떠나지만, 두 사람은 다시 만나게 됩니다. 이사벨은 여전히 도널드가 자신의 비정상적인 부분을 받아들이지 못한다고 생각하지만, 도널드는 이사벨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영화는 두 남녀가 서로의 차이를 서서히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결국에는 진정한 사랑을 찾는 과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이 영화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이 겪는 어려움과 그들의 사랑 이야기를 진솔하게 담아내고 있습니다. 감동적이고 따뜻한 이야기를 통해, 서로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소통하고 사랑을 나누는지를 보여줍니다.

 

 

2. 아스퍼거 증후군 

 

아스퍼거 증후군 (Asperger Syndrome)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Autism Spectrum Disorder) 유형으로, 사회적 관계,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으며, 특별히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관심사와 행동을 보입니다. 

 

주요 증상:

  •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또한, 이들은 친구를 사귀거나 그 관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하는데 있어서의 문제: 눈 맞춤이나 얼굴의 표정 또는 어떠한 동작 등의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이해하거나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 제한적이거나 계속적인 행동: 이들은 특정한 주제에 관심을 보이기도 하며, 반복적이거나 계속적인 행동이나 일상적인 틀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 언어적인 특이성향: 언어의 발달은 일반적으로 정상이지만, 말투나 내용이 단조롭거나 형식적일 수 있으며, 서로간에 이루어지는 대화의 맥락이나 핵심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원인:

아스퍼거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추정컨데 유전적인 요인이나 뇌 구조적 또는 기능적 차이가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합니다. 여기에 더해, 임신 중에 발생한 어떠한 환경적 요인도 영향을 미칠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진단:

아스퍼거 증후군은 주로 행동 관찰과 심리 평가를 통해 진단됩니다이들을 위한 특별한 의학적 검사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유전 검사는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다양한 도전과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적절한 지원과 이해를 통해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생활할 수 있습니다

 

 

3.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의 사회적 기여 

일론 머스크(Elon Musk, 기업인, 참조: 영화 리턴 투 스페이스 (Return to Space, 2022)) 2021년 미국의 코미디쇼 SNL(Saturday Night Live)에 출연, 자신이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지고 있다고 밝힌바 있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에 기여하고,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습니다

 

1. 전문 분야에서의 기여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종종 특정 분야에 깊은 관심과 뛰어난 능력을 보입니다. 일론 머스크처럼 기술, 과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성과를 이룰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문성을 통해 사회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2.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독특한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기존의 문제를 새로운 시각에서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3. 사회적 기술 향상

사회적 기술 훈련과 지원을 통해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직장이나 커뮤니티에서 더 나은 관계를 형성하고, 팀워크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4. 자원봉사와 커뮤니티 참여

자원봉사 활동이나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 사회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다른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5. 교육과 인식 제고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한 교육과 인식을 높이는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이 이 증후군을 더 잘 이해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이는 사회 전반에 걸쳐 더 포용적이고 이해심 많은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6. 멘토링과 롤모델 역할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른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에게 멘토링을 제공하거나, 롤모델로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도 적절한 지원과 이해를 통해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생활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처럼 자신의 강점을 활용하여 큰 성과를 이루는 사례는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줄 수 있습니다.

 

 

4. 영화가 주는 메시지 

 

영화 모짜르트와 고래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두 주인공의 사랑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여러 가지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첫째다양성의 존중입니다. 도널드와 이사벨은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지고 있지만, 그들의 독특한 재능과 개성은 그들을 특별하게 만듭니다. 이 영화는 우리가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각자의 다름이 오히려 사회를 풍요롭게 만들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둘째사랑과 이해의 힘입니다. 도널드와 이사벨은 서로의 차이를 극복하고 진정한 사랑을 찾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서로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법을 배웁니다. 이는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완벽함이 아니라, 서로를 이해하고 지지하는 것임을 일깨워줍니다.

 

셋째자기 수용과 성장입니다. 도널드는 자신의 비정상적인 부분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하지만, 결국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성장하게 됩니다. 이는 우리 모두가 자신의 약점을 인정하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진정한 성장을 이룰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넷째사회적 인식 제고입니다. 이 영화는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겪는 어려움과 그들의 강점을 조명합니다. 이를 통해 관객들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더 포용적인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희망과 용기입니다. 도널드와 이사벨의 이야기는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용기를 내어 사랑과 삶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어려운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말고, 용기를 내어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모짜르트와 고래"는 감동적이고 따뜻한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사랑, 이해, 다양성의 존중, 자기 수용, 사회적 인식 제고, 희망과 용기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우리가 서로를 이해하고 지지하는 사회를 만드는 데 큰 영감을 줄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